세계 연일 테러.. "종교적 색채보다 분노가 배경"

이미영 기자 입력 2016. 7. 27. 14:35 수정 2016. 7. 27. 17: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슈더이슈]佛·獨 등 유럽 테러 범인 대부분 20대 이민 청년.. "소외계층 분노 표출"

[머니투데이 이미영 기자] [[이슈더이슈]佛·獨 등 유럽 테러 범인 대부분 20대 이민 청년… "소외계층 분노 표출"]

/AFPBBNews=뉴스1

전세계가 '테러'로 몸살을 앓고 있다. 벨기에, 프랑스 등지에서 국한돼 일어났던 테러는 최근 유럽 전역으로 확산됐다. 사람들은 연일 불특정 다수에게 벌어지는 테러로 공포에 휩싸였다.

전문가들은 최근 이어지는 테러가 종교에 기본 바탕을 두고 있지만 사회적 소외계층의 분노가 표출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6일 현재까지 올해 유럽에서만 발생한 굵직한 테러만 13건. 한달에 두 번꼴로 크고 작은 테러가 발생했다. 사상자는 200명이 훌쩍 넘었다. 최근 나흘 동안에만 독일에서 연쇄적으로 4건의 테러가 발생하기도 했다.

지난 14일에는 프랑스 니스에서 튀니지 출신 이민자가 차량으로 독립기념일 축제를 즐기던 사람들을 무참히 쓸고 가 80여명의 목숨을 앗아갔고, 몇달 전인 지난 3월 22일에는 벨기에 공항에서 폭탄 테러가 발생해 32명이 사망했다. 테러범들은 독일·프랑스 등지에서 총기와 폭탄으로 시민들에게 해를 가했다.

전문가들은 최근 유럽에서 발생하는 테러에 공통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테러를 자행하는 범인들은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으로 대체로 어린 편이고, 이슬람권 국가에서 이민을 왔거나 시리아·아프가니스탄 등 지역에서 온 난민이라는 것이다. 정착한 나라에서 절도·강도와 같은 범죄로 이미 수감생활을 한 이들도 상당 비율을 차지했다.

지난 3월 프랑스 남부 지방인 툴루즈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테러는 23세의 알제리 출신 이민자의 범행이었다. 이 사고로 2명의 유대인 유치원생과 2명의 군인이 목숨을 잃었다. 테러범은 절도 전과 2범으로 최근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을 여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알제리 출신 프랑스 이민자는 지난 5월 유대인 박물관에서 총기를 난사했다. 29세인 그는 강도 혐의로 5년간 감옥생활을 했었다. 최근 독일에서 발생한 테러의 범인은 시리아·아프가니스탄에서 온 난민 청년들이었다. 이 외에도 굵직한 테러현장에는 '전문' 이슬람교 조직원이 아닌 이민자 출신의 청년들이 있었다.

한국테러학회장인 이만종 호원대학교 교수는 "최근 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벌어진 테러는 종교적 신념이나 정치적 목적이 분명하게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대부분 사회적으로 적응하지 못한 반사회 계층이 인터넷이나 홍보매체를 통해 이슬람 극단주의를 접하면서 자생적 테러로 발전했다"고 분석했다.

아프리카, 중동 등지에서 유럽으로 이민을 간 사람들이 사회 주류에 편입하지 못하면서 겪은 소외감이나 분노가 테러로 표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테러주의의 심리적 패러다임은 패배주의와 영웅주의가 결합된 것"이라며 "현재의 세상에 불만을 품으면서 자신만의 새로운 세상을 실현시키겠다는 생각이 결국 테러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문제는 유럽에서 최근 발생하는 테러가 계속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는 데 있다. 유럽연합(EU) 테러감지센터 관계자는 유럽에서 최근 급진 수니파 무장 단체인 이슬람국가(IS)로 유입된 청년만 약 5000명으로 보고 있다. 이들 일부는 다시 본국으로 돌아와 수감 중이거나 보호감찰을 받고 있지만 일부는 감시망을 피해 테러에 가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최근 유럽의 이민자들에 대한 적대적 분위기도 큰 위협이 되고 있다. EU에 따르면 지난해 유럽에 유입된 난민만 약 100만여명이다. 이들이 유럽 사회에서 제대로 적응하지 못할 경우 결국 과격한 행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한 테러 분야 전문가는 "2000년대 초반에는 테러가 이슬람 극단주의 등 종교적 색채를 크게 띠었지만 최근에는 주류와 비주류, 중심부와 주변부의 충돌 구도가 더 많이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관점에서 봤을 때 한국도 테러 안전지역이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테러형태의 범죄가 사회 문제를 내포하고 있는 만큼 단순히 유럽의 '특수상황'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경제적 불평등, 기회의 박탈 등으로 소외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불특정 다수를 해치는 범죄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이 교수는 "탈북자, 다문화 가정에 대한 차별, 청년의 빈곤화 문제 등은 결국 잔인한 폭력으로 표출될 수 있다"며 "테러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대책과 안보강화도 매우 중요하지만 사회에서 소외받는 이들에 대한 균형적인 정책을 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미영 기자 myle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