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해 수족구병 의심환자는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보건당국은 전국 소아과 100곳을 표본으로 수족구병 발생 동향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표본감시 결과 외래환자 1천명 당 의심환자 수는 올해 25주(6월 12~18일) 43.7명, 26주(6월 19~25일) 51.1명, 27주(6월 26일~7월 2일) 49.5명, 28주(7월 3∼9일) 45.4명, 29주(7월 10∼16일) 41.7명 등을 보였습니다.
지난 2014년 5월 11~17일의 35.5명이 과거 주간 최고치였던 점을 고려하면 올해 수족구병이 얼마나 대단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수족구병 진단으로 일시적으로 등교하지 못한 초·중·고교생들도 발생했는데 주로 초등학생들이었습니다.
17개 시·도교육청이 관내 초·중·고교로부터 보고받은 상반기 수족구병 환자는 모두 6천855명이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 1천155명보다 5.9배 증가한 것입니다.
지역별 환자 수)는 ▲ 경기 2천13명(345명) ▲ 서울 706명(158명) ▲ 강원 566명(55명) ▲ 울산 510명(14명) ▲ 인천 499명(210명) ▲ 충남 382명(64명) ▲ 경남 360명(34명) ▲ 경북 320명(14명) ▲ 대구 316명(79명) ▲ 충북 282명(40명) ▲ 부산 221명(9명) ▲ 제주 188명(12명) ▲ 전남 161명(43명) ▲ 대전 98명(15명) ▲ 광주 94명(32명) ▲ 전북 88명(27명) ▲ 세종 51명(4)입니다.
울산은 환자 수가 36.4배, 부산은 24.6배나 늘어난 것이 눈에 띕니다.
법정감염병 중 지정감염병인 수족구병은 현재까지 치료제나 백신이 없으며 주기적으로 유행하는 소아 감염병으로 알려졌습니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한 번 유행하면 어느 정도 면역이 생겼다가 일정 기간 후 다시 퍼지는 사이클을 보인다"고 전했습니다.
무더위와 습기 등 환경도 수족구병 유행과 연관이 있어 보입니다.
수족구병은 발열, 두통, 구토 등 증상도 동반됩니다.
병에 걸린 뒤 3~4일이 지나면 호전되기 시작하지만, 신경계 합병증,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 등 합병증이 생길 경우에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청주 서원보건소 송순호 감염병관리팀장은 "수족구병과 같은 접촉성 전염병을 예방하려면 개인위생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가까운 전문 의료 기관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시·도교육청들은 올해 수족구병 환자가 대거 보고되자 손 씻기를 생활하고 기침 예절도 잘 지켜달라는 내용의 긴급 공문을 교육지원청과 각급 학교에 보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