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성과연봉제 가이드라인에 '빈틈'

2016. 7. 25. 03:3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사례 1 서울에 위치한 A은행 영업점엔 하루 걸러 한 명꼴로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피해자가 방문한다. 피해접수 신고부터 관련 금융거래 중지까지 사후처리에 한 시간가량 걸린다. 은행원 입장에서는 그만큼 카드를 판매하거나 신규 예금을 유치하는 등 ‘돈 되는 고객’에게 마케팅을 하는 시간이 줄어드는 셈이다.

#사례 2 B은행 영업점에 근무하는 김모 과장은 요즘 70대 여성 고객 때문에 잔뜩 날이 서 있다. 일주일에 한 번씩 어김없이 영업점을 찾아와 자신의 현금카드 비밀번호를 알려 달라고 요구하기 때문이다. “수첩에 적어 두라”고 수차례 얘기했지만 소용없었다. 창구에 들어서기가 무섭게 신변잡기를 늘어놓는 고객 얘기를 30분 넘게 웃으며 들어 줘야 하는 게 여간 쉬운 일은 아니다.

●세금 수납 등 공적 기능은 미반영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시중은행의 성과연봉제 도입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됐지만 여전히 ‘빈틈’이 적지 않다는 지적이다. 세금 및 공과금을 납부하거나 각종 신고업무를 처리하는 은행의 공적 기능은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적이 잘 나오는 영업점 내지 업무영역을 ‘사수’하기 위해 줄서기 문화가 심화될 것이란 우려도 크다.

은행연합회가 마련한 성과연봉제 공동 가이드라인을 접한 은행원들의 가장 큰 요구사항은 공적기능에 대한 가점 배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C은행 관계자는 “지금의 가이드라인에는 수익률 기여도만 따져 연봉을 차등 지급하는 내용만 있다”며 “이렇게 되면 카드 분실신고나 지방세 납부 등 고가에 별 도움 안 되는 업무를 어느 은행원이 적극적으로 처리하려 하겠느냐”고 반문했다.

●호실적 영업점 줄서기 심화 우려

D은행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 한 건을 유치해도 서울 강남 점포에선 단위가 5억~10억원이지만 강북에서는 1억~3억원에 불과하다”며 “실적이 잘 나오거나 승진 필수 코스로 여겨지는 영업점에 발령받기 위해 학연과 지연을 총동원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금도 은행원들은 ‘로터리 점포’를 가장 기피한다. 로터리 점포는 역세권이나 유동인구가 많은 곳에 위치한 점포를 말한다. 하루 영업점 방문 고객이 많게는 300~400명이지만 대다수는 이런저런 신고업무나 공과금 납부 목적이다. 한마디로 ‘일은 많은데 돈은 안 되는’ 점포인 것이다.

●평가 권한 지점장 집중 문제 여전

지점장의 권한 집중도 논란거리다. 가이드라인에선 개인평가 결과를 지점장과 해당 은행원이 공유하고, 이의 제기가 가능하도록 공식 절차를 마련하도록 했다. 하지만 한 시중은행원은 “지점장이 매긴 개인평가 점수를 납득하기 어렵다 하더라도 (찍힐까 두려워) 누가 선뜻 이의 제기를 할 수 있겠느냐”고 털어놓았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 환경보호 하느라 샤샤샤~ 알뜰살뜰 아이디어 넘치는 당신이라면? (6월 19일까지 참여하세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