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 10명중 4명 "자녀양육 부담에 출산 중단"
|
10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에 따르면 15∼49세 기혼 여성의 평균 자녀 수는 1.75명이었다. 이 중 지난해 2분기(4∼6월) 기준 전체 월평균 가구 소득의 60%(256만2000원) 미만을 버는 가구의 평균 자녀 수는 1.63명이었지만 160%(683만2000원) 이상을 버는 가구의 자녀 수는 1.84명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가구 소득 60∼80% 미만의 평균 자녀 수는 1.69명, 80∼120% 미만은 1.77명, 120∼160% 미만은 1.79명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8∼10월 국내 1만2000가구를 대상으로 기혼 여성 1만1009명과 미혼 남녀 2383명을 방문 면접한 결과다.
기혼 여성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자녀 수는 평균 2.25명이었지만 현재 자녀와 앞으로 추가로 낳을 계획이 있는 자녀를 더한 기대 자녀 수는 평균 1.94명에 그쳤다. 주된 이유는 경제적 부담이었다. 기혼 여성 중 남편과 이혼하거나 사별한 사람을 제외한 유배우 여성 10명 중 4명은 출산을 중단한 이유로 △자녀 교육비 부담 (21.8%) △자녀 양육비 부담(12.4%) △소득·고용 불안정(6.9%) △자녀 양육을 위한 주택 마련 어려움(0.9%) 등 경제적 이유를 들었다. 이는 자녀가 성인이 된 뒤에도 부모가 보살펴야 한다는 인식이 강한 한국 사회의 특성과 무관하지 않다. 기혼 여성 10명 중 9명(89.6%)은 자녀가 성인이 된 뒤에도 책임져야 한다고 답했다.
미혼 남녀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미혼 남녀 2383명 중 17.5%는 출산을 원하지 않거나 자녀 1명만 낳겠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자녀 교육비 부담’(24.7%)과 ‘자녀 양육비 부담’(24.4%)이 1, 2위로 가장 많았다.
김호경 기자 kimhk@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오늘의 인기 무료 만화 '빅툰']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재명 “국회·대통령 집무실 세종으로…임기 내 건립”
- [송평인 칼럼]대선 경쟁이 팽팽해지기 위한 3가지 조건
- [속보]한은, 기준금리 연 2.75% 동결
- 권성동 “이재명, 공수처 강화 공약은 대규모 정치보복 빌드업”
- 헌재 “권한대행이 재판관 지명, 극심한 혼란 생길 것”
- 美, 저성능 AI칩도 中수출 통제… 관세전쟁, 반도체로 확전
- 용인 일가족 살해 가장은 분양업체 대표… 수십억 사기 고발당해
- [단독]건진 “尹과 친분” 檢 진술… 尹장모와 10차례 통화 기록도
- 절대강자 없는 국힘 경선… 의원들 ‘어디에 줄서나’ 눈치게임
- 파월 “관세로 美물가 상승하고 성장 둔화될 것”…금리동결 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