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공무원 공로연수 긍정적 측면 많아…개선 통해 내실화

2016.07.04 행정자치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행정자치부는 공로연수제도는 장기재직공무원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하고 신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많다고 밝혔다.

또 공로연수제도를 폐지하기보다 제도개선을 통해 내실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행자부는 4일 연합뉴스가 보도한 <집에서 쉬어도 1년 월급 ‘꼬박’…공무원 공로연수제 논란> 제하 기사에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연합뉴스는 이날 퇴직 앞둔 공무원의 사회적응 지원 명분으로 공로연수를 도입했으나 실상은 인사적체 해소 수단이라고 보도했다.

또 최고 1년간 쉬면서 월급을 받아가는 등 ‘놀고 먹는 제도’라는 비난이 고조되고 있다며 공로연수제 폐지 및 보완 정책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에 대해 행자부는 공로연수제도는 장기간 공직에 봉사한 공무원이 퇴직을 앞두고 공직 노하우를 정리·전수할 기회를 부여하고 고령화 사회에 퇴직 후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을 위한 제도라고 설명했다. 

또 공로연수 대상자 선정시 정년 6개월 이내인 공무원을 원칙으로 선정하므로 인사적체 해소라기보다는 신규채용 증가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다고 덧붙였다.

행자부는 공로연수 프로그램을 내실화하고 공로연수기간 중 전문분야와 관련한 재능기부, 현장 자원봉사를 포함하는 등 월별 공로연수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도록 개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각 지자체 공로연수 실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 제도취지에 맞게 운영되도록 지도·감독을 철저히 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문의: 행정자치부 지방인사제도과 02-2100-387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