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는 '타이거즈'를 버렸다

장강훈 입력 2016. 6. 28. 06: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5일 2014한국프로야구 시범경기 KIA타이거즈가 지난8일 개장한 광주 KIA챔피언스필드에서 첫경기를 두산베어스와 펼쳤다. KIA챔피언스필드 전경. 광주 | 강영조기자kanjo@sportsseoul.com

[스포츠서울 장강훈기자] 광주는 KIA타이거즈를 버릴 것인가?

KIA가 홈구장으로 쓰고 있는 광주-KIA 챔피언스필드가 시끄럽다. 광주시가 무등구장을 대체하는 새구장 건립계획을 발표했을 때 KIA자동차(이하 KIA차)에 출연을 요청하며 25년 장기임대를 약속했는데 이를 일방적으로 어길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또한 구장 신축 이후 들어선 인근 아파트 주민들의 소음 민원에도 KIA차에 책임을 전가하는 듯한 태도를 취하고 있어 사태가 심상치 않다. 신축구장 입지선정부터 건립계획까지 광주시가 주도했고, 인근 아파트 시공 허가 역시 광주시가 내줬는데 ‘시민들이 불편을 호소한다’는 이유 하나로 적극적인 문제 해결 의지를 보이기보다 눈치를 보며 슬금슬금 발을 빼고 있는 모습을 보여 빈축을 사고 있다.

KIA 타이거즈 이범호가14일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에서 진행된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5-3으로 앞선 7회 솔로 홈런을 쳐낸 뒤 그라운드를 돌며 주루 코치와 하이파이브를 하고 있다. 김도훈기자 dica@sportsseoul.com

◇KIA 타이거즈 없는 광주구장, 과연 수익시설일까?
광주시와 KIA차, 한국야구위원회(KBO)는 늦어도 오는 10월까지 광주구장 운영권에 관한 재협상을 매듭짓겠다는 입장이다. 광주시는 당초 25년간 임대하기로 했던 약속을 프로 스프츠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지는 일부 시민단체의 억측과 프로스포츠 산업진흥법이 통과되기 전에 실시한 감사원의 감사결과를 빌미로 일방적으로 파기했다. 광주시는 당시 “2년간 운영을 해보고 수익을 평가한 뒤 재협상하자”고 KIA차에 압박을 가하며 재협상 테이블을 차렸다.

재협상 테이블에 함께 참여하고 있는 KBO측은 “구장 건립 당시 광주시가 건축비용을 산정해 KIA차에 300억 원 출연을 요구했다. 그 대가로 25년간 구장 임대를 약속했는데 구장이 들어서고 나서 입장이 바뀌었다. 감사원에서 지적했던 부분은 ‘관리·운영 계약’을 하려면 구장 수익을 근거로 연간 액수를 책정해야 하는데 그런 행정절차가 무시됐다는 점이었다. 그러나 1년에 12억 원씩 수익이 나야 25년 간 300억 원을 지자체에 낼 수 있는데, 수익을 내는 구장이 있는지가 의문”이라고 반문했다. 정치적 이슈로 신축구장을 공약해 기업을 끌어 들인 지자체가 행정착오의 책임을 오히려 투자한 기업에게 전가하는 말도 안되는 상황이 벌어진 셈이다.

실제로 KIA차가 지난 15일 광주시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4년 1억 3500만 원, 지난해 8억 8400만 원의 손실이 났다. 구장 개장 이후 시설 개보수에 60억 원 이상을 순차적으로 투자했기 때문에 적자폭이 더 커졌다. 하지만 광주시 관계자는 “구장 개보수에 든 비용은 야구장이 아닌 야구단의 필요에 의한 투자다. 야구장 수익에 이를 포함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명칭사용료나 광고수익 등은 야구장 수익으로 책정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KIA가 챔피언스필드를 쓰지 않는다면 구장 명칭이나 광고를 사려고 하는 기업이 있을지 의문이다. 챔피언스필드에 KIA를 완전히 배제한, 도무지 앞뒤가 맞지 않는 논리다.

14일 2016 KBO리그 KIA와 한화의 경기가 열린 광주KIA챔피언스 필드가 시즌 두 번째 매진을 기록한 가운데 관중석이 야구팬들로 가득 들어차있다. 광주 | 박진업기자 upandup@sportsseoul.com

◇매년 적자보는 기업, 공공재 아니면 운영이유 없어
KBO 측은 “10개구단이 1년 평균 4000억 원 가량을 쓴다. 각 구단이 200억 원에서 250억 원 가량 적자를 내면서까지 야구단을 운영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광주시의 주장대로 KIA차가 ‘특혜’를 봤다면 수익 경쟁 끝에 어느 한쪽이 비정상적으로 이득을 봐야 한다. 하지만 KIA차는 새 구장 건립에 출자를 한데다 매년 250억 원 이상 돈을 쓰면서도 특혜시비에 휘말렸다. KBO 측은 “스포츠 산업 진흥법 개정안이 오는 8월 4일부터 시행된다. 프로구단이 합법적으로 지자체로부터 체육시설을 최대 25년 간 장기임대 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되면 협상 내용도 달라질 것”이라고 밝혔다. 스포츠산업진흥법 개정안 제17조 3항에는 ‘공공체육시설의 효율적 활용과 프로스포츠의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경우, 공유재산을 25년 이내 사용 수익·관리 위탁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개정안이 만들어진 이유가 광주시의 일방적인 약속파기로 인한 KIA차와 KIA 타이거즈의 피해를 막기 위한 조치였다는 것을 광주시는 모르는 듯 했다. 시 관계자는 “스포츠산업진흥법과 이번 재협상은 전혀 무관한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이번 재협상은 프로야구를 둘러싼 제도적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사안이다. 이미 대구와 대전, 부산시 등이 지자체와 각 구단 간의 구장운영권 협상을 규정하는 중요한 잣대가 될 수도 있는 이번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KBO를 비롯한 프로 스포츠단체도 마찬가지다. 이번 기회에 프로 스포츠의 공공재적 성격을 인정받아 산업으로서의 스포츠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게 이들의 공통된 바람이다.

광주시가 지금처럼 무리한 요구를 고수한다면 KIA도 광주에 연고를 둘 하등의 이유가 없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1980~1990년대 한국프로야구의 맹주로, 광주시민들의 자긍심이었던 구단이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는다면 기업 입장에서는 더 이상 프로구단을 유지할 명분이 없기 때문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선례도 없고, KIA가 연고지를 이전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하지만 프로야구단을 유치하고 싶어하는 지자체는 생각보다 많다. 그리고 KIA 타이거즈는 ‘전국구 인기구단’이다. 지자체의 가치를 드높이는 공공재 하나를 잃을 수도 있는 위기상황이다. 철석같은 약속을 헌신짝처럼 내팽개친 광주시의 근시안적 태도에 비난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zzang@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