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기획]자유 지키고 난민 돕고.. '코리아 넘버원' 알리는 국가대표

2016. 6. 18. 03: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군 해외파병 52년의 역사
[동아일보]
내전으로 얼룩진 아프리카 남수단에서 평화 유지와 재건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한빛부대 장병들이 부상한 현지 주민을 들것으로 치료시설에 옮기고 있다. 2013년 1월 첫 파병 이후 현재 6진 장병들이 활동 중인 한빛부대는 현지에서 ‘신이 내린 축복’이란 찬사를 듣고 있다. 합동참모본부 제공
한국과 중국에서 신드롬을 일으킨 TV 드라마 ‘태양의 후예’는 해외에 파견된 특전사 장교와 여의사의 로맨스와 함께 위험과 역경 속에서 임무를 다하는 파병 장병들의 활약을 그렸다. 현실의 태양의 후예들도 드라마보다 진한 감동을 펼치고 있다. 지구촌 곳곳에서 태극마크와 유엔기를 달고 평화 재건과 희망의 씨앗을 뿌리고 있는 파병 장병들이 그 주인공이다.

아프리카 오지와 열사의 땅, 내전과 재해로 얼룩진 난민촌이 그들의 활동 무대다. 가난과 질병, 테러로 신음하는 현지 주민들은 구원의 손길을 건네는 한국군을 ‘신의 축복’, ‘진정한 친구’로 부르고 있다. ‘한국과 한국민을 영원히 기억하겠다’는 찬사도 이어진다. 이는 대한민국의 국격(國格) 향상과 국익 창출의 소중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

베트남전 파병은 대한민국 부흥의 발판

한국군의 해외 파병 역사는 ‘대한민국 성공 신화’와 맥을 같이한다. 6·25전쟁 때 한국은 16개 유엔 참전국의 파병으로 국가 존망의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이후 국제사회의 물적 재정 지원은 전쟁 폐허 속에서 ‘한강의 기적’을 이뤄내는 원동력이 됐다. 한국군의 최초 해외 파병은 베트남전 파병이었다. 1964년 9월 비전투요원(의료진, 태권도 교관) 140여 명을 시작으로 1973년 종전 때까지 3개 전투사단 등 연인원 32만 명이 투입됐다. 당시 박정희 정부는 6·25전쟁에서 피를 흘린 미국 등 자유진영을 도와 아시아의 공산화를 막는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막대한 경제·군사·외교적 실익도 거뒀다. 파병 장병의 송금액과 전사상자 보상금은 경부고속도로 등 경제 기반 시설을 짓는 데 사용됐다. 상사와 건설, 서비스업 등 70여 개의 한국 업체가 남베트남에 진출해 ‘특수’를 누렸다. 7년간의 파병으로 벌어들인 외화(약 10억3600만 달러)는 한국이 최빈국에서 개도국 대열로 들어서는 ‘쌈짓돈’이 됐다. 미국의 군사원조 증대로 방산 육성과 무기 현대화, 실전 경험을 통한 전술 발전 등 군사적 이익과 함께 외교적으로도 미국의 방위 공약이 확고해져 해외 자본 투자와 차관 공여를 촉진시키는 계기가 됐다.

도움 받던 최빈국에서 도움 주는 선진국으로

유엔평화유지활동(PKO) 파병은 한국이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탈바꿈하는 전환점이 됐다. 유엔 가입 2년 뒤인 1993년 7월 아프리카 소말리아에 파병된 상록수 부대(250여 명·공병)가 그 첫발을 뗐다. 부대원들은 내전으로 폐허가 된 도로를 보수하고, 관개수로를 건설하는 등 재건 활동에 구슬땀을 흘렸다.

이후 국제사회에서 한국군에 대한 ‘PKO 러브콜’이 쇄도했다. 1994년 서부 사하라에 국군의료지원단이, 1995년 앙골라에 공병대대가 각각 파병됐다. 1999년에는 상록수부대가 동티모르에서 치안 회복과 대민 지원 활동을 벌였다. 다국적군으로 파병된 이 부대는 2000년 유엔평화유지군(PKF)으로 전환돼 3년간 PKO 임무를 수행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레바논에서 정전 감시 임무를 수행 중인 동명부대는 대민 진료는 물론이고 주민들의 소중한 재산인 소, 양 등 가축까지 돌봐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 부대는 한국어와 태권도, 컴퓨터 교실을 열어 한류 확산에도 기여하고 있다. 또 수만 건의 감시정찰과 2500차례가 넘는 급조폭발물(IED) 수색작전을 완수해 현지 유엔사령부로부터 ‘최고등급(outstanding)’ 평가를 받았다.

2010년 2월∼2012년 말 아이티에서 지진 피해 복구와 주민 진료 활동을 펼친 단비부대도 현지에서 ‘레오간(주둔지 명칭)의 축복’이라는 찬사를 들었다. 2012년 3월부터 남수단에서 재건 지원에 나선 한빛부대도 현지에서 환영을 받고 있다. 합참 관계자는 “강 범람이나 화재 같은 위기 때마다 ‘해결사’로 나서는 한국군을 향해 ‘코리아 넘버 원’이라고 불러주는 주민이 많다”고 전했다.

해외 파병의 법적 제도적 지원 절실

다국적군 파병 활동도 활발히 벌여 왔다. 2001∼2014년 아프가니스탄에 해·공군 및 의료·공병부대를 번갈아 보내 다국적군의 재건 활동을 지원했다.

2003∼2008년에는 서희부대(공병), 제마부대(의료), 자이툰부대가 이라크에서 다국적군으로 활약했다. 2009년부터 소말리아 아덴 만 해역에서 해적 퇴치와 선박 호송 임무를 수행 중인 청해부대도 같은 사례다. 2011년부터 아랍에미리트(UAE)에 파병돼 활동 중인 아크부대는 비분쟁 지역에서 벌이는 군사협력 차원의 파병 사례다.

군 안팎에선 파병 기간 연장이 정쟁(政爭) 대상이 되거나, 이로 인해 파병 활동이 위축되는 상황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많다. 해외 파병은 실전 경험을 통한 전투력 향상과 국가 위상 제고, 경제 외교적 국익 증진의 호기(好機)인 만큼 국민의 이해와 지지를 바탕으로 대승적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다. 군 관계자는 “일본은 지난해 안보법제를 개정해 자위대의 해외파병 활동을 확대하고, 중국도 파병 규모와 지역을 늘리고 있다”며 “국군의 파병 활동을 지원하는 법적 근거가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철균 국방부 국제정책차장 “국익 위한 값진 투자 해외파병법 꼭 필요”▼
“해외 파병은 포괄적 국익 차원에서 미래를 위한 값진 투자입니다.”

박철균 국방부 국제정책차장(육군 준장·육사 42기·사진)은 14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국가 위상과 국익 증진을 위해 파병 활동이 적극 이뤄질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 차장은 2014년부터 국방부와 외교부, 국회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정부합동성과평가단을 이끌고 해외 파병부대를 점검했다.

박 차장은 파병 유형이 재건과 의료지원 위주에서 비전통적 위협(난민, 질병 등)과 재외국민 보호, 국방 협력 등으로 다양해지고, 그 수요도 급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2014년 10월 전 세계적인 에볼라 위기 때 민군 합동 구호의료진을 시에라리온에 급파한 것도 그런 맥락에서 봐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국군의 해외파병법 제정이 필요하지만 19대 국회에서 통과되지 못했다. 그는 “올해 안에 정부안을 확정한 뒤 국회와 긴밀히 협력해 20대 국회에선 통과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윤상호 군사전문 기자 ysh1005@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오늘의 인기 무료 만화 '빅툰']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