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2024년엔 100만여명이 앓을 수 있어 "초기 치료 중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 중 하나인 치매가 매년 급증하는 가운데 2024년에는 치매환자가 100만 여명으로 늘고 2041년에는 200만 여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는 인지기능 저하로 인해 일상생활능력의 장애가 초래되는 병이다. 퇴행성 뇌질환, 뇌혈관 질환, 대사성 장애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은 알츠하이머병이다. 전체 치매 환자의 약 60~70%를 차지할 정도로 흔하다. 처음에는 최근 대화 내용이나 복약 여부를 잊어버리는 것과 같은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다가, 시공간 능력, 집행능력, 판단능력, 언어 능력과 같은 다른 인지기능의 손상이 동반돼 방향감각을 잃고 길을 헤매거나 복잡한 절차의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 진단해 질병의 경과를 최대한 늦출 수 있도록 치료받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치매 증상은 대부분 노년기에 나타나지만 병을 일으키는 병변 단백의 뇌 침착은 증상 발현 훨씬 이전인 중년기에 시작된다. 아밀로이드 뇌영상 검사와 같은 진단 검사를 이용하면 이러한 병리 유무를 확인해 초기단계에서 진단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일부 환자에서는 초기 증상으로 우울, 불안과 같은 기분 변화나 과민함, 충동조절장애와 같은 행동 및 성격 변화를 보일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우울증이나 다른 정신질환과의 감별이 필요하므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정확한 진단적 평가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고대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현강 교수는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뇌는 자주 쓰면 쓸수록 뇌의 예비 능력이 커져 퇴행성 뇌질환에 의한 신경 손상이 시작되더라도 얼마만큼은 이를 보완해 인지장애를 보이지 않을 수 있다”며 “뇌를 자극할 수 있는 인지적 수행 활동인 어학이나 한자 학습과 같은 공부, 악기 연주, 바둑, 보드 게임 등이 뇌 예비 능력을 증진시켜 치매 발생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노인 복지관, 문화센터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인지자극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집에서도 스스로 새로운 것을 익히고 배우는 과정에서 매진함으로써 뇌를 단련할 수 있을 있다. 이밖에도 비타민과 오메가 지방산이 풍부한 녹황색 채소, 등 푸른 생선, 견과류, 과일 등의 섭취를 늘리는 식습관 변화와 규칙적인 운동 그리고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 등의 공존 질환을 잘 관리하고 술, 담배를 금하는 것도 궁극적으로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치매 환자와 더불어 살기 & 치매 예방 생활
- 치매로 가는 길목, 경도인지장애
- 치매를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
- 혈관성 치매란, 뇌혈관에 문제 생겨 뇌조직 손상.. 치료법은?
- 50대에 치매 생기면 증상 달라.. 조기 발견 놓치기 쉬워
- “탈모·우울 겪어” 연예계 대표 다이어터 3인방, 공통적으로 저지른 실수는?
- "운동만 갔다 오면 심하게 피곤해하더니"… '둔갑한' 성매매 장소였다?
- 아침에 주로 먹는 시리얼·요거트, 그동안 건강 망쳤을 수도… 대체 왜?!
- 뱃살도 내장지방도 아니다! ‘여기’에 쌓인 지방, 심장에 치명적
- 집에서 면도기로 벅벅… 겨드랑이 새카매진다, 해결책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