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내 비타민 D 부족하면 어린이 아토피 증세 악화"
체내 비타민 D가 부족하면 어린이의 아토피 피부염 증세가 악화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비타민 D는 햇볕을 쬐면 몸 안에서 자연스레 생성되는 비타민으로 일명 '선샤인 비타민'이라고 불린다. 울산대병원 피부과 서호석 교수팀이 2013~2014년 병원을 찾은 19세 이하 아토피 환자 61명과 일반 초·중·고생 120명을 함께 조사한 결과다.
연구팀은 조사 대상의 아토피의 중증도를 측정하기 위해 스코라드 지수(SCORAD index)를 매겼고, 자외선 노출 설문과 혈액 검사도 실시했다. 그 결과 아토피 어린이의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낮을수록 스코라드 지수가 높았다. 비타민 D가 부족할수록 아토피 증세가 심하다는 뜻이다.
다만 일반 학생군과 아토피 환자군 사이에 비타민 D 농도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비타민 D 결핍은 아토피 발병에 직접 영향을 주기보다는 기존 환자 증상 악화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햇볕을 덜 쬐거나 비타민 D 함유 식품을 적게 섭취해서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낮은 아토피 환자에게 비타민 D를 보충해주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에 따르면 햇볕 노출시간이 길수록 조사 대상 어린이의 혈중 비타민 D 농도가 높았다. 대상자의 연령대가 높을수록 비타민 D 농도는 낮게 나왔다. 연구팀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선크림ㆍ모자 등의 사용이 많아지고, 과도한 학업 부담 등으로 햇볕을 쬘 수 있는 외부활동이 줄어드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한국인의 비타민 D 부족은 이미 심각한 수준이다. 기존 역학조사에 따르면 한국 남성의 86.8%, 여성의 93.3%가 비타민 D 부족 상태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서도 아토피 어린이의 83.6%, 일반 학생의 83.3%가 비타민 D 부족으로 조사됐다. 이는 서구화된 생활방식으로 햇볕을 충분히 쬐기 힘들어진 탓으로 분석된다.
연구팀은 "비타민 D 부족이 면역 조절 장애를 불러 아토피 등 알레르기 질환의 발생률이 증가했다는 이른바 ‘비타민 D 가설’이 학계에서 제시됐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대부분 서양인을 대상으로 했지만 이번 국내 연구에서도 비타민 D 부족이 아토피 증상 악화와 연관성을 보인만큼 임상 현장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정종훈 기자 sakehoon@joongang.co.kr
▶ 전교생 절반이 수능 1·2등급···시골학교 풍산고의 반란
▶ 김종인·김세연·김성식·유승민, 국회 내 뭉쳤다
▶ 윤빛가람 "국가대표까지 했는데 일본인이라고···"
▶ 한때 재계 1위 현대그룹 '중견기업' 된다
▶ 제부 옷 벗겨 사진찍고 성폭행범으로 몬 여성, 이유가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