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는 기업 폐기물 쓰레기장..뒤처리는 세금으로"

김현섭 2016. 5. 31. 15: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경연합, "바다가 쓰레기장인가?"…해수부 준설토 프로젝트 중단 촉구
중금속 농도 감소 등 해수부 연구용역 결과 '애매모호' 지적
"생태계 죽음 대가로 재미 본 건 기업, 뒤처리는 왜 세금으로 충당하나?"

【서울=뉴시스】김현섭 기자 = 환경운동연합이 준설토(하천이나 바다 바닥에 퇴적됐다가 제거된 흙)를 활용해 해양투기해역을 복원하겠다는 해양수산부(해수부)의 계획에 대해 "바다는 쓰레기장이 아니다"라며 반대 의사를 전했다.

환경연합은 31일 서울 광화문 이순신 장군 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해수부의 주장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환경연합은 "(해수부가 용역 발주를 통해 제시한) 연구 결과부터 애매모호하다"고 말했다.

해수부는 준설토 피복으로 인해 표면 중금속 농도가 줄고 저서생물 건강도 지수(AMBI)가 개선됐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환경연합은 "투기해역의 오염된 밑바닥을 덜 더러운 준설토로 '가리고', '희석'했으니 당연한 귀결일 수도 있다. 하지만 2015년 한국환경준설학회 춘계 학술대회서 나란히 발표된 다른 연구에서는 관점에 따라 저서생물(바다 밑에 사는 생물)군집 평가지수(BPI)가 널뛰기를 하거나 오히려 나빠지기도 하는 등 준설토 피복에 의한 의미있는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여기에 "올해 저명한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등에 따르면 저서생물 건강도 지수는 해역에 따라 오염을 판정하는 성능이 달라지기 때문에 적어도 5년 이상, 100여개 이상의 정점을 조사해 적합 지수를 선정해야 한다"며 "그런데 해수부가 인용한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수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과정 자체가 없다"고도 지적했다.

연구와 정책 전반에 걸쳐 조급함이 읽힌다는 것이다.

이어 "준설토 입자가 가라앉으면서 부유생태계에 미칠 피해 역시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 적조생물을 방제하기 위해 뿌리는 황토입자보다도 환경영향이 큰 준설물을 뿌린다면 바다의 1차 생산을 담당하는 부유생태계는 큰 피해를 받게 된다"며 "흙 입자에 스치기만 해도 플랑크톤 세포가 파괴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환경연합은 "바다에 폐기물을 버려 가장 재미를 본 건 바로 기업"이라며 "수십 년 동안 바다 생태계의 죽음을 헐값으로 지불하고 주머니를 불렸다"며 "그런데 이제 와서 그 뒤처리는 국민의 세금으로 충당하자고 하니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번다는 속담이 딱 맞다"고 꼬집었다.

해수부는 지난 3일 "올해부터 시행하는 육상폐기물 해양배출 금지에 따른 후속조치로 폐기물로 인해 오염된 배출해역을 복원·관리하는 방안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고 밝히면서 첫번째 정책으로 양질의 준설토로 해저 오염물질을 덮어 주변과 분리시키는(피복)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afero@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