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중국 주재 북한 무역일꾼 등 20여 명 "한국행 도와달라"
해외에 파견된 북한 엘리트들이 동요하고 있다. 외화벌이에 공을 세워 금의환향(錦衣還鄕)을 꿈꾸는 대신 체제 이탈 쪽으로 쏠리고 있다.
민간단체인 북한인권시민연합은 24일 올 들어서만 중국에 체류 중인 20여 명의 탈북자가 ‘긴급 구호’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시민연합 측은 “구호 요청은 중국 현지의 활동가들을 통해 전달됐거나 우리 단체로 직접 들어온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20여 명의 탈북자 중에는 북한 당국이 선발해 뽑은 무역 종사자 등도 포함됐다고 한다. 북·중 접경지를 통해 탈출한 일반 주민들 외에 북한 당국의 ‘선별’을 거친 인사들까지 탈출 러시에 가담했다는 건 새로운 양상이다. 이 같은 계층의 탈출 성공 사례가 늘어날 경우 해외 파견 근로자들의 추가 이탈도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전망이 관련 단체들에서 나온다.
시민연합은 접수한 탈북자들의 구호 요청을 모두 정부에 전달했다. 중국 내 탈북자들을 한국에 입국시키려면 중국은 물론 탈북 루트에 포함된 동남아 국가들의 외교적 협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올 들어 본격화된 탈북 러시 상황을 주시하며 대책을 마련 중이다. 다만 주요 탈북 루트인 중국과 동남아 각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공개적으로 나서진 않고 있다. 탈북 상황에 대해 정부가 확인도 부인도 하지 않는 ‘NCND(Neither confirm nor deny)’ 기조를 유지하는 게 대표적이다.
일각에선 해외파견 노동자들 중 엘리트로 분류할 수 있는 식당 종업원들의 탈북 러시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지난달 중국 저장(浙江)성 닝보(寧波)의 류경식당에 이어 상하이(上海) 소재 북한 식당에서 여성 종업원들이 추가로 탈출했다고 밝힌 장진성 뉴포커스 대표는 “북한 식당 종업원 중 한국으로 탈북하겠다는 움직임이 꽤 있다”고 말했다. 추가 탈출 사건이 발생한 북한 식당의 소재가 상하이가 아닌 항저우(杭州) 등이라는 설에 대해선 “그만큼 다양한 곳에서 탈북이 감지된다는 얘기”라고 주장했다.
통일부 당국자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지난달 식당 종업원 13명의 집단 탈북이 해외식당에서 일하는 다른 북한 종업원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북한이 방송 등을 통해 ‘집단 유인납치’라고 선전전을 하는 이유도 심리적 방어막을 치려는 측면”이라고 말했다.
▶관련 기사 “중국 내 북한식당 여직원 3명 또 탈출”
익명을 요청한 대북 소식통은 “탈출한 종업원들은 현재 태국에서 당국의 보호를 받고 있다”며 “조만간 입국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통일부는 공식적으론 “해외 북한 식당 종업원들이 이탈했다는 보도는 사실”이라면서도 “이들이 처한 현재 상황에 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음을 양해해달라”고 밝혔다.
외교부 조준혁 대변인도 정례브리핑에서 “지난 (류경식당) 탈북 사태는 다수의 탈북민이 집단 탈출해 상당히 이례적이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공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며 “(이번엔) 관례대로 탈북민 안전, 주변국과의 문제 때문에 구체 사항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고 말했다.
전수진·서재준 기자 suh.jaejoon@joongang.co.kr
▶ "탈북 여종업원 일한 곳은 산시성, 北 따돌리려…"
▶ 손길승 SKT 명예회장, 성추행 장면 CCTV 살펴보니
▶ 40억 청담 집, 118억 통장…'재벌 혼외 외손자' 의사 정체는
▶ 장관이 술 마시고 우물쭈물···대통령이 그 자리서 해임
▶ 52세 '최고령 본드걸' 속옷도 안걸치고 전신 노출패션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