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둘기파도 "6월 금리인상 가능"..27일 옐런의 입에 주목

황인혁 2016. 5. 23. 17:2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로젠그런 총재 "인상요건 거의 충족..브렉시트 걸림돌 안돼"FT조사 전문가 절반 "6~7월 금리인상"强달러땐 원자재·기업실적 악영향 우려"완만한 인상 시장영향 제한적" 분석도

◆ 힘받는 美금리 추가인상 ◆

설마 했던 '6월 미국 금리 인상론'이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불과 일주일 전인 16일만 해도 시장에서 전망하는 6월 금리 인상 확률은 4%에 불과했다. 사실상 6월 인상 가능성은 없다고 본 것이다. 하지만 지난 17일(현지시간) 공개된 미국의 4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록이 6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한 데 이어 지역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들이 '릴레이식' 6월 기준금리 추가 인상 필요성을 역설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급기야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내 대표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로 꼽히는 에릭 로젠그런 보스턴 연은 총재까지 조기 인상론 대열에 합류해 6~7월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기정사실화하는 모양새다.

로젠그런 총재는 22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하면서 "연준이 정한 (금리 인상) 요건이 현재로선 거의 충족되기 직전"이라며 "내가 더욱 자신하는 이유는 최근 미국 경제가 더 좋은 거시경제지표를 내놓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지난 3월 FOMC 이후 두 달간 경제·금융지표가 긍정적 방향으로 선회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긴축 통화 정책을 지지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연준은 6월 금리 인상 조건으로 미국 경제가 2분기에 추가 호조세를 보이고, 고용 여건이 더욱 개선되며,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인 2% 선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3가지를 제시했다. 로젠그런 총재는 이러한 요건을 언급하면서 금리 인상 상황이 무르익었다고 밝힌 것이다.

다음달 23일 영국의 브렉시트(유럽연합 탈퇴) 국민투표가 6월 FOMC(14~15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로젠그런 총재는 시장에 큰 불안을 초래하지 않는 한 미국 통화정책 기조를 바꿔야 할 이유가 될 수 없다고 답했다.

존 윌리엄스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도 이날 폭스뉴스와 인터뷰하면서 올해 두 번 혹은 세 번의 금리 인상이 적절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윌리엄스 총재 역시 고용시장과 인플레이션 지표 등이 연준 목표치에 점차 부합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 그는 "연준은 대선이 있던 해에도 행동(금리 인상)을 취할 수 있다는 점을 거듭 입증해왔고 우리는 다시 한 번 실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대선 기간에 긴축을 자제하라는 정치적 압력에 굴복하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실제로 연준은 선거가 열렸던 1984년, 1988년, 2000년, 2004년에 기준금리를 올렸다.

윌리엄스 총재는 올해 FOMC 투표권이 없지만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샌프란시스코 연은 총재로 재직할 당시 조사국장으로서 옐런 의장과 긴밀하게 호흡을 맞춰왔다.

4월 FOMC 회의록 공개와 지역 연은 총재들의 잇단 조기 금리 인상론이 시장을 강타하면서 조기 금리 인상 기대감은 부쩍 높아졌다. FT가 최근 주요 이코노미스트 53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중 51%가 '6월 혹은 7월에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것'으로 예상했다. 6~7월이 아닌 9월에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본 응답자는 36%에 달했다.

작년 12월 이후 주춤했던 기준금리 인상 행진이 6월에 재개되면 달러는 강세 기조로 전환되고 원유 등 원자재값의 하방 압력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달러로 결제되는 원유 거래 특성상 달러 강세는 대개 국제 유가 상승의 악재로 작용한다. 원유 수입국들의 원유 수요 위축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모처럼 상승세를 이어가던 원유값이 연준발 금리 인상 악재로 꺾일 수 있는 셈이다.

특히 달러 강세는 신흥국 통화 약세를 초래해 신흥국 시장의 자본 유출을 촉발할 여지가 있다. 신흥국 주식·채권 시장이 자칫 자본 유출 소용돌이에 휘말리면 주식·채권값 하락을 피할 수 없다.

가뜩이나 국내 경제 여건이 취약한 신흥국들은 미국 금리 인상 움직임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다. 유로존과 일본이 초저금리 통화 정책을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의 '나 홀로' 금리 인상은 경제권역 간 금리 격차를 키워 시장 변동성을 한층 키우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수출품의 가격경쟁력 하락에 따른 미국 기업들의 수출 저하 문제도 연준이 고민해야 할 문제다. 다만 금리 인상은 예대마진(예금과 대출의 금리 차)에 목말라 있는 미국 금융회사들에 '가뭄 속 단비'로 작용할 수 있다. 지난주 6월 금리 인상론이 부쩍 부상하면서 미 국채 금리는 이미 껑충 뛰었다. 미국 기준금리 변동에 민감한 미 국채 2년물 금리는 지난주 13bp(1bp=0.01%포인트)나 오른 0.888%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큰 주간 단위 상승폭이다.

22일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펀드매니저들의 반응을 취합해 연준이 6월 금리 인상을 단행하더라도 증시나 채권 시장의 큰 혼란은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달러 강세가 다소 진정됐고 원유 가격이 올해 저점 대비 82%나 오른 게 시장의 숨통을 틔워주는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이제 월가의 시선은 6월 14~15일 FOMC 회의에 앞서 진행되는 옐런 의장의 두 차례 연설에 쏠리고 있다. 그는 오는 27일 하버드대에서 토론을 하며, 다음달 6일에도 필라델피아 국제문제협의회(WAC)에서 연설할 예정이다. 차기 인상 시점에 대한 힌트를 주느냐가 최대 관심사다.

데이비드 도너베디언 애틀랜틱트러스트자산관리 최고투자책임자는 WSJ에 "연준의 차기 인상 시점이 6월이냐 7월이냐 혹은 그 뒤가 될 것이냐에 상관없이 연준은 완만하고 점진적인 속도로 금리를 올릴 것"이라며 이런 기존 입장에 변화가 없는 한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말했다.

지난주 공개된 4월 FOMC 의사록에 따르면 대부분의 FOMC 참석자들은 "앞으로 발표되는 경제지표가 2분기 경기 회복 추세와 일치하고, 고용시장이 더 개선되며, 물가가 목표치인 2%에 접근한다면 6월에는 기준금리 목표치를 올리는 게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회의에서는 일부 참석자들이 "금융시장이 6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너무 낮게 보고 있다"고 우려를 표한 뒤 "6월 FOMC 회의 전까지 시장과 충분히 소통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최근 데니스 록하트 애틀랜타 연은 총재는 올해 금리 인상 횟수에 대해 "현재 내 전망은 두 번이고, 아마 세 번도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뉴욕 = 황인혁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