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미·독 학자 "최저임금 오르면 소비 늘어 영세상인도 혜택"

2016. 5. 17. 13:41
번역 Translated by kaka i
번역중 Now in translation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양대 노총·20대 당선인 등 간담회.. 최저임금 1만원으로 인상 촉구
독일ㆍ미국 최저임금 전문가-양대노총-국회의원 당선인 간담회 (서울=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1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간담회장에서 열린 독일ㆍ미국 최저임금 전문가와 양대노총ㆍ국회의원 당선인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무소속 김종훈, 정의당 이정미,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당선인, 민주노총 김종인 부위원장, 한국노총 최두환 부위원장, 토르스텐 칼리나 독일 뒤스부르크 에센 대학 직업과 자격연구소장, 데이빗 쿠퍼 미국 경제정책연구소장, 무소속 윤종오 당선인.
'독일ㆍ미국의 최저임금은?' (서울=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1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9간담회장에서 열린 독일ㆍ미국 최저임금 전문가와 양대노총ㆍ국회의원 당선인 간담회에서 토르스텐 칼리나 독일 뒤스부르크 에센 대학 직업과 자격연구소장(오른쪽)과 데이빗 쿠퍼 미국 경제정책연구소장이 독일과 미국의 최저임금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독일ㆍ미국 최저임금 내용 알고 싶은 국회의원 당선인 (서울=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1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9간담회장에서 열린 독일ㆍ미국 최저임금 전문가와 양대노총ㆍ국회의원 당선인 간담회에서 정의당 이정미 당선인(오른쪽)이 토르스텐 칼리나 독일 뒤스부르크 에센 대학 직업과 자격연구소장(오른쪽)과 인사하고 있다. 왼쪽은 데이빗 쿠퍼 미국 경제정책연구소장.
'독일ㆍ미국 최저임금 전문가들이 말하는 최저 임금은?' (서울=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1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 9간담회장에서 열린 독일ㆍ미국 최저임금 전문가와 양대노총ㆍ국회의원 당선인 간담회에서 토르스텐 칼리나 독일 뒤스부르크 에센 대학 직업과 자격연구소장(가운데), 데이빗 쿠퍼 미국 경제정책연구소장(오른쪽)이 독일과 미국의 최저임금 관련 내용을 소개하고 있다.

양대 노총ㆍ20대 당선인 등 간담회… 최저임금 1만원으로 인상 촉구

(서울=연합뉴스) 최평천 기자 = 미국과 독일 경제 전문가들은 최저임금이 오르면 소비활동이 늘어나 소상공인들도 혜택을 본다고 말했다.

민주노총·한국노총, 20대 국회의원 당선인, 미국·독일 전문가는 17일 국회의사당 의원회관에서 열린 최저임금제도 개선 간담회에서 최저임금 인상의 긍정적 효과를 논의하고 인상을 촉구했다.

독일 뒤스부르크 에센 대학교 '직업과 자격' 연구소 토르스텐 칼리나 연구원은 "독일 최저임금은 8.5유로(약 1만300원)"라며 "최저임금제도 도입으로 400만명의 근로자 임금이 올랐다"고 설명했다.

그는 "90년대 최저임금제도가 도입되면서 불안정한 고용 형태가 안정적으로 변했다"며 "고용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도 나타나지 않았다"고 말했다.

미국 경제정책연구소 데이비드 쿠퍼 연구원은 "미국은 연방 최저임금은 7.25달러(약 8천500원)이지만 많은 주에서 자체적으로 더 높은 최저임금제도를 도입했다"고 말했다.

쿠퍼는 "뉴욕 주 등은 최저임금을 15달러(약 1만7천600원)까지 올리기로 했다"며 "사용자들 역시 인상을 동의한다"고 소개했다.

최저임금이 소상공인 경제활동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의견에는 미국에서는 오히려 소상공인들이 최저임금을 적극적으로 찬성한다며 최저임금제도가 없는 것이 타격이 더 크다고 답변했다.

그는 최저임금제도가 도입되면 근로자의 이직률이 낮아지고 소비자의 소비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소상공인 경영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상공인들은 당장의 수익이 떨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지만 다른 경쟁사도 똑같은 상황"이라며 "공정한 경쟁"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우리나라 최저임금은 시급 6천30원·월 126만270원(주 40시간)이다.

양대 노총은 최저임금이 미혼 단신 노동자 실태생계비 대비 81% 수준에도 못 미친다며 최저임금으로 2인 가구도 생활도 힘들다고 지적했다.

최저임금 노동자가 가구의 주 소득원임을 고려해 2인 가구 월 가계지출 평균 추정값인 약 220만원보다 다소 낮은 월 209만원을 최저임금으로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시급은 1만원으로 인상을 촉구했다.

pc@yna.co.kr

☞ '판교사고' 잊었나…축제관람 여대생 2명 채광창서 추락
☞  女승무원 폭행 '라면 상무' 해고무효 소송 냈다가
☞ 생방송중인 기상캐스터에 "민소매 안돼" 카디건 입혀
☞ 한국어 6년 독학 20대 英여성, 한강 맨부커상 견인
☞ 소주 4병 나눠 마신 무면허 여친에 "운전 한번 해봐"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검색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