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지방

"충남교육청, 학생 생존 수영 교육 수박 겉핥기식"

등록 2016.05.10 13:30:15수정 2016.12.28 17:02:0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홍성·예산=뉴시스】홍성현 충남도의원

【홍성·예산=뉴시스】홍성현 충남도의원

【홍성·예산=뉴시스】유효상 기자 = 충남도내 학생들의 생명보호 능력을 강화할 ‘생존 수영 교육’이 수박 겉핥기식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각 지자체와 교육지원청별 예산지원이 원활하지 않은 데다, 수영장이 협소하거나 열악해 학생 수용이 어렵기 때문이다.



 충남도의회 홍성현 의원(천안1)은 10일 열린 제286회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학생들의 안전을 담보할 생존 수영 교육이 지자체별 빈익빈 부익부를 나타내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 의원에 따르면 충남의 경우 올해 초등학생 3~4학년(서천 3~6학년) 1만 8068명을 대상으로 7억 4700만원을 지원해 생존 수영 교육을 시행 중이다.

 문제는 일부 학교의 경우 지자체 지원이 미약해 수익자 부담으로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학교는 전액을 지원해 수영교육을 진행하는가 하면, 일부 학교는 학부모나 학생이 직접 돈을 내고 수영을 배우고 있는 것이다.



 홍 의원은 “지자체의 지원이 미약하고 협조가 잘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교육장의 활동과 열의가 부족한 탓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생존 수영교육은 특정학년이 아닌 초교 전 학년을 대상으로 상시 시행해야 한다”며 “지자체의 시설활용 방안과 비용부담 완화를 위한 협업체계 구축 및 관용차량 지원 등 생존수영 교육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 의원은 열악한 수영장 시설과 환경도 생존 수영 교육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꼽았다.

 교육부에 따르면 충남의 공공시설 수영장은 총 21개로, 초등학생 11만 5484명을 수용하고 있다. 이마저도 학생수영장은 8개 지역 11개소에 불과, 수영교육을 위한 인프라가 미약하다.

 충남도와 비슷한 전북(23개소), 전남(25개소), 강원도(30개소) 등과 비교할 때 열악하다는 것이 홍 의원의 분석이다.

 홍 의원은 “천안지역만 보더라도 초등학생은 3만 8323명인데 반해 공공수영장은 천안시가 운영하는 단 1곳에 불과하다”며 “학생수영장조차 없는 실정으로, 전국 최하위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열악한 시설환경에서 어떻게 생존을 담보할 수 있겠느냐”며 “충남의 11만5000명 초등학생 생존수영 교육은 물론 전체 수영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yreporter@newsis.com

많이 본 기사

많이 본 기사

구독
구독
기사제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