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협동조합 2398곳..3년새 2.4배 급증

2016. 5. 9. 13: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94%가 일반협동조합…사회적협동조합 138개 증가세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서울 시내 협동조합은 2398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3년 새 2.4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서울연구원이 서울시협동조합지원센터의 자료를 분석해 내놓은 인포그래픽스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서울시내 협동조합은 2398개로 이 중 94.2%가 일반협동조합이었다. 협동조합은 경제ㆍ사회ㆍ문화적 필요의 충족을 위해 설립한 사업조직으로 학교매점, 공동육아, 카페, 예술, 돌봄 서비스, 택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서울 시내 협동조합은 2013년 1004개에서 2015년 2266개, 올해 3월말 2398개로 매년 증가세를 보였다.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ㆍ생산ㆍ판매ㆍ제공 등을 협동으로 운영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 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인 일반협동조합이 100곳 중 94곳(94.2%)이나 됐다.

업종별로 보면 도매 및 소매업(축산, 의료기기, 전통시장 등)이 568곳으로 25.1%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교육서비스업(자녀교육, 직업교육 등) 17.6%, 예술ㆍ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요리, 스포츠, 미술활동 관련) 8.4%, 제조업(공예, 패션 등) 7.2% 순이다.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공익적인 사업(취약계층 고용, 돌봄 서비스, 지역재생)을 수행하며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사회적협동조합은 5.8%로 비교적 비중을 차지했지만 꾸준히 늘고 있었다. 사회적협동조합은 2013년 37개에서 2016년 138개로 3.7배 급증했다. 업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공동육아, 의료복지 등)이 30.4%로 가장 많고, 그다음은 교육서비스업 25.4%, 예술ㆍ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 8.7%,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위생관리, 안전관리 등) 8.0% 순이다.

mkkang@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리아이 영어글쓰기, 어떻게 교육하나요]
슈퍼맨이 돌아왔다 오지호, 미모의 아내 공개…“난 재벌 사위 아냐”
GS건설이 분양하는 “마포자이3차”... 입주 때는 “분양가가 전세가
설리, 윤곽 드러난 ‘노브라’ 셀카에 ‘시끌’
양정원, 남심 자극 ‘나혼자’ 안무…마리텔 초토화
[이슈앤토픽] “망측해라” 초등학교 앞 성관계 동상이…
이수나 중환자실 입원..“남편 때문에 극심한 우울증, 1년간…”
‘복면가왕’ 하현우, “피 토하면서 노래했다…가왕이 목표”
조성호, 범행 후 태연 “여성과 데이트 약속 잡았다”
‘음악대장’ 하현우?, 티삼스 노래로 8연승…평소 공연에도 고음 즐겨
GS건설이 분양하는 “마포자이3차”... 입주 때는 “분양가가 전세가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