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부족 방치 땐 전세계 GDP도 줄어든다"

2016. 5. 4. 19:5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계은행 보고서서 지적

물 부족 현상이 2050년까지 이어지면 유럽·북미를 제외한 전 세계 대부분 국가들의 국내총생산(GDP)이 크게 하락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세계은행은 3일(현지시간) ‘고온 건조: 기후변화, 물 그리고 경제’라는 보고서에서 “인구 및 소득 수준의 증가, 도시 확장 등으로 물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지만 공급은 한정돼 있다”며 만성적인 물 부족 현상이 심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계은행은 특히 물 부족에 대한 조치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 2050년까지 인도, 중동, 중국 등을 포함한 지역의 GDP가 평균 6%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같은 시나리오가 현실화하면 일부 국가는 마이너스 성장세에 돌입할 수밖에 없다는 게 세계은행의 분석이다.

특히 지역별로 중동은 GDP가 14% 하락하고, 아프리카 사하라 일대(11.7%)와 중앙아시아(10.7%) 역시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상대적으로 물이 풍부한 지역으로 여겨지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도 GDP가 7.1% 감소하는 것으로 관측됐다. 하지만 유럽과 북미 지역은 물 부족에 따른 GDP 감소가 0.5%에 그쳐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세계은행은 전망했다.

세계은행은 수자원 부족이 곡물 가격을 올리고, 이는 소비 여력이 없는 저소득층의 건강을 해쳐 사회적 불안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아울러 에너지 등 각종 산업 분야의 효율성을 떨어뜨려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2050년까지 인구와 에너지 소비가 덩달아 증가하면 곡물 분야는 현재 대비 40~50%, 산업 분야는 50~70%, 에너지 부문은 85%의 물이 더 필요한데 자연적인 물 공급량이 이를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포스트는 “물 부족 현상은 마실 물과 식량을 살 여력이 없는 저소득층에게 특히 치명적일 것”이라며 “향후 경제성장률은 ‘물 공급량’이 좌지우지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세계은행은 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저장하는 국가 정책이 뒷받침돼야 파국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효율적인 수자원 대책으로 물 부족 현상이 심화하고 있는 인도의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체 인구의 25%인 3억3000만명이 가뭄에 허덕이고 있는 인도는 엘니뇨와 같은 기상 이변에다 무분별한 개발 정책까지 더해지면서 ‘위기’ 수준의 물 부족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사설에서 “건설업계와 결탁한 지방 정부가 강 근처 모래 채취를 제한 없이 허락해 갈수기에 쓰는 지하수가 급속도로 메말랐다”며 “모디 총리의 최우선 과제는 가뭄 해소”라고 지적했다.

세계은행은 “낡은 배수시설로 수도의 3분의 2가 사라지는 국가들도 있다”며 “효율적인 물 관리 정책이 시행되면 2050년까지 중앙아시아의 GDP가 11.5%, 동아시아는 3.3% 증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