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만에 진실 드러난 이포보 장병 4명 사망사건

안두원 2016. 4. 28. 17:4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단순 익사라더니..사람잡는 구명조끼 탓등부터 떠오르도록 제작..軍 은폐 의혹
2010년 경기도 여주시 이포대교 인근에서 발생한 군용 보트 전복 사고에서 4명의 장병이 구명조끼를 착용하고도 숨진 것은 등만 물 위에 뜨고 코와 입은 물속에 잠기도록 잘못 제작된 '불량 구명조끼'가 원인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군은 사고 조사 과정에서 구명조끼의 설계 결함을 알았지만, 6년간 쉬쉬하며내부적으로 결함을 보완한 신형 구명조끼를 제작해 각 부대에 보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일각에선 당시 장병들 사망에 따른 군 수뇌부 책임론을 회피하기 위해 일부러 사고 원인을 은폐하려고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28일 매일경제가 육군본부 헌병실에서 입수한 수사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11월 한강의 이포보 인근에서 훈련 중 고무보트가 뒤집혀 숨진 제5공병여단 강 모 중대장(대위) 등 4명의 희생자들이 착용하고 있던 구명조끼의 부력이 등쪽은 55%이고, 가슴 쪽은 45%로 설계된 것으로 밝혀졌다. 수사결과 보고서는 "급류에 휩쓸려 장병들이 의식을 잃었을 경우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리면서 안면부(호흡기)가 수중으로 들어가는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구명조끼 군사요구도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및 개선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적시했다.

당시 사고를 수사했던 군 관계자는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급류에 휩쓸려 의식을 잃은 장병들이 등이 먼저 떠올라 엎드린 상태였고 코와 입이 물속에 잠길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육군이 구명조끼를 이렇게 설계·제작한 이유는 전방을 보고 총을 겨눈 상태를 유지하며 전진할 수 있게 하자는 것인데 전형적인 탁상공론식 발상"이라고 지적했다. 육군의 구명조끼와 다르게 해군의 구명조끼인 카포크 재킷은 장병 생명 보호와 안전을 위해 등쪽 부력이 가슴 쪽 부력의 약 3분의 1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육군은 구명조끼의 부력이 직접적 사인은 아니라고 부인했다. 육군 관계자는 "의식을 잃은 상태에서 결국 익사에 이른 것으로 조사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군은 수사 결과 내부적으로 구명조끼가 사망의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판단하고, 이후 구명조끼의 부력을 가슴이 등쪽보다 더 높도록 수정했다. 육군 관계자는 "구명조끼 부력 기준이 원래는 등쪽이 10% 더 높았는데 그 후 가슴 쪽이 10% 더 높도록 개선됐다"며 "사고 개연성이 있기 때문에 개선한 것"이라고 말했다. 군은 부력 배분이 개선된 구명조끼를 각급 부대에 보급해 내년까지 완료할 예정이며, 관련 예산으로 약 17억4500만원이 책정됐다.

[안두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