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곪은 中경제..2008년 美리먼위기 직전과 닮은꼴" 돌직구

황인혁,박만원 2016. 4. 21. 17:4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악성부채 갚아주는 은행시스템 1~2년 못가정부가 구조조정 덮는건 더 깊은무덤 파는것일각선 "中 위기설 띄워 환차익 노리기 속셈"

◆ 소로스, 또 중국경제 경고 / 뉴욕 '亞 소사이어티' 세미나서 작심비판 ◆

헤지펀드계의 대부로 불리는 조지 소로스가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진행된 `아시아 소사이어티` 행사에서 중국 경제에 대한 날선 비판을 또 한번 쏟아냈다. [뉴욕 = 황인혁 특파원]
연초부터 중국 경기 전망을 놓고 중국 정부와 갈등을 빚고 있는 '헤지펀드 대부' 조지 소로스 소로스펀드 회장이 또다시 중국 경제 때리기에 나섰다.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열린 아시아 소사이어티 '중국 경제 세미나'에서 소로스 회장은 강연을 통해 부채로 떠받치는 중국 경제 허상과 은행·기업 부실이 초래할 중국 경제 위기를 경고했다. 소로스 회장은 1월 21일 스위스 다보스포럼(세계경제포럼) 현장에서도 "중국 경제 경착륙은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경착륙을) 예상하는 게 아니라 지켜보고 있다"고 주장해 위안화 가치 급락의 단초를 제공한 바 있다. 이에 중국 감독당국은 소로스 회장을 환투기세력으로 규정하고 투기세력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행사에 참석한 월가 인사는 "위안화를 놓고 중국 당국과 치열한 기(氣) 싸움을 펼치고 있는데 소로스 회장이 자신의 주장이 맞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또다시 중국 경제 위기론을 강조한 것 같다"며 "중국 정부와 일종의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고 해석했다.

"지금 중국 경제 상황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기 직전인 2007~2008년 미국 경제와 유사하다."

중국 경제 비관론을 설파하고 있는 억만장자 소로스 회장이 중국 경제 현주소를 글로벌 경제위기 직전 미국 경제에 빗대며 또 중국 경제 때리기에 나섰다. 2008년 9월 글로벌 금융위기 폭발 직전까지도 미국 경제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반응이 우세했지만 결국 곪아 터졌듯 지금의 중국이 딱 그 꼴이라는 주장이다.

소로스 회장은 20일(현지시간) 뉴욕 맨해튼에서 '아시아 소사이어티' 강연을 통해 "최근 중국의 급격한 부채 증가는 파국으로 가는 경고 신호"라고 잘라 말했다. 중국 경제가 올해 1월 증시 대폭락 이후 최근 안정세를 찾아가는 듯 하지만 과도한 부채에 의존한 경기 부양은 지속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조만간 붕괴될 수밖에 없다는 게 중국을 향한 소로스 회장의 일침이다.

지난 3월 한 달 동안 중국의 민간 신규부채는 2조3400억위안(약 367조3800억원) 증가했다. 블룸버그가 전망한 1조4000억위안을 껑충 뛰어넘는 액수다. 중국 공공부채 규모는 2014년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282%에 달했다.

은행시스템 부실화 가능성도 제기했다. 소로스 회장은 "중국 은행들이 부실기업 악성부채를 떠안고 있는 것은 대단히 심각한 문제"라며 "이런 돌려막기가 얼마나 갈 수 있겠는가. 1~2년은 버틸지 몰라도 곧 터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정부가 소위 '좀비기업'들을 내치지 못하는 이유로 소로스 회장은 대량 실업사태를 지목했다. 소로스 회장은 "중국은 대규모 실업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며 "철강·시멘트 등 과잉생산으로 시름하는 기업들의 대량 해고를 허용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더 깊은 자기 무덤을 파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부실기업을 퇴출시키지 못한 채 문제를 더 키우고 있다는 진단이다.

중국은 올 초 리커창 총리 주재로 공급 과잉 업종인 철강산업 연간 생산량을 줄이고 시멘트·석탄 등 한계기업을 겨냥해 구조조정의 칼을 빼들기로 했지만 미국 월가 등 글로벌 시장에선 이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실제로 중국 정부는 기업들의 과도한 부채 문제가 제기되자 은행 부실채권에 대한 출자전환을 추진 중이다. 이를 통해 해당 기업들은 채무 부담을 덜 수 있지만 은행들은 이자수입이 감소하고 원금 손실을 감수해야 할 처지에 몰릴 수 있다. 전형적인 관치금융이란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기업들의 과도한 부채와 부실채권 증가는 중국 경제 시스템 붕괴를 가져오는 '뇌관'이다.

지난해 말 중국 은행들의 부실채권은 2조위안(약 350조원), 부실채권 비율은 1.67%로 사상 최고 수준이다. 외국 금융기관들은 부실채권 비율이 최고 5%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급증하는 부동산대출도 중국 은행들의 건전성을 뒤흔드는 불안 요인이다. 인민은행에 따르면 3월 말 개인 부동산대출 잔액은 15조1800억위안(약 2670조원)으로 1년 만에 25% 급증했다. 중국 정부가 올해 정책과제로 부동산 재고 해소를 내걸고 각 지방정부에서 규제를 완화한 데다 기록적인 저금리까지 더해져 부동산 과열이 빚어졌다. 소로스 회장은 "중국 경제 거품이 계속 커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소로스 회장은 중국 정치개혁 필요성도 강조했다. 정부와 당이 주도하는 통제적 경제와 시장 발전은 양립할 수 없고 시장을 위축시킨다는 지적이다. 중국이 수출 중심 경제에서 내수 중심 경제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지만 지금과 같은 자본 통제 구조에선 서비스업 발전을 달성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소로스 회장의 중국 때리기에 대해 중국 일각에서는 중국 경제 위기설을 확산시켜 위안화 약세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환차익을 거두려는 불순한 의도를 품고 있는 것으로 폄하하고 있다.

신화통신을 비롯한 중국 관영매체들은 지난 1월 소로스 회장이 공개적으로 위안화 등 아시아 통화 공매도 발언을 내놓자 "투기꾼들은 여전히 과거에 살고 있지만 중국은 현재를 붙들고 있다"며 "소로스는 반드시 실패할 것"이라고 맹비난한 바 있다.

소로스 회장은 1992년 영국 파운드화 약세에 거액의 베팅을 해 성공을 거두면서 국제금융시장의 큰손으로 부상했다. 1997년 아시아 IMF 외환위기 때도 태국 바트화와 말레이시아 링깃화 약세에 베팅해 거액을 벌었다. 당시 마하티르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는 그를 동남아시아 위기 주범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뉴욕 = 황인혁 특파원 / 베이징 = 박만원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