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 언니들의 전성시대가 왔다

우동균 2016. 4. 13. 16: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언프리티 랩스타> 부터 <욱씨 남정기> 까지 접수한 여성들

[오마이뉴스우동균 기자]

 <언프리티 랩스타>의 가장 큰 수혜자 제시
ⓒ cj e&m
'걸크러쉬'라는 단어가 유행이 되고 있다. 여성이 같은 여성을 동경하고 좋아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이 단어는 당당하고 진취적이며 주눅 들지 않는 여성상을 일컫는 말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과거 이효리 혹은 김혜수 등이 이런 이미지의 여성상으로서 대중의 호응을 얻었지만 현재는 이런 여성상에 대한 인식이 하나의 현상이 되며 연예인의 콘셉트를 결정하거나 홍보에 이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이런 현상은 예능에까지 영향을 끼쳤는데 <언프리티 랩스타>는 그 효과를 가장 톡톡히 본 프로그램이다. 여성래퍼들이 랩이라는 매개체를 통해 서로와 배틀을 벌이고 이 과정에서 다소 험한 말들이 오고간다. 여성 래퍼들이 수적으로 열세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언프리티 랩스타>는 성공적인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힙합 열풍도 이 성공에 한 몫을 했지만 여성들의 기 싸움을 보는 재미 역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었다.
<언프리티 랩스타>의 가장 큰 수혜자는 역시 시즌1의 제시다. 제시는 우승자인 치타보다 더 많은 주목을 받았는데 랩 실력도 실력이지만 거침없는 태도 역시 엄청난 인기 요인이었다. 프로그램 중간에 자신에 대한 평가에 불만을 터뜨리면서 자신에게 평가를 한 출연진들에 던진 한 마디, "니들이 뭔데 날 판단해"라는 말은 유행어가 되기까지 했다. 그의 노래 '센 언니'처럼, 제시는 그 이미지를 그대로 활용하는 활동방법으로 활동반경을 넓혔다. 자신의 개성과 캐릭터를 확실하게 어필한 제시는 이후에도 <진짜사나이> <언니들의 슬램덩크>등, 예능인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김숙은 가모장 캐릭터로 김숙 열풍을 몰고왔다
ⓒ mbc
이제 막 시작된 <언니들의 슬램덩크>에는 제시뿐 아니라 라미란, 김숙 등 여성들의 지지를 받는 인물들이 다수 출연한다. 첫 회는 일단 호평을 받았지만 여성 예능의 부활을 이끌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여성들의 캐릭터는 생각보다 강렬하다. 특히 김숙은 이미 하나의 상징적인 존재가 되었다. <님과 함께-최고의 사랑>에 출연하여 가부장에 반대되는 가모장적인 모습을 보인 김숙의 캐릭터는 많은 여성들에게 어필하며 갓숙(God+김숙의 합성어), 숙크러쉬 등, 많은 별명을 양산해 냈다.
사실상 <우리 결혼했어요> 류의 프로그램은 이제 대중의 관심을 얻기 힘든 포맷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님과 함께>역시 그런 포맷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였다. 그러나 김숙은 윤정수와 짝을 이루어 아예 초반부터 '계약커플'이라고 당당히 선언하며 신선함을 안겼다. 촬영 중에는 알콩달콩하지만 결국은 비즈니스 커플임이 밝혀지는 커플예능에서 찾아 볼 수 없었던 설정이었다. 그리고 "어디 남자 목소리가 담장을 넘나?" "남자는 집에서 조신하게 살림만 해." 등의 주로 남자가 했던 대사들을 읊으며 여성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얻었다. 김숙은 한 인터뷰에서 "나는 항상 이렇게 행동해 왔는데 시대가 변하니 나 같은 캐릭터도 각광을 받는다"며 자신이 얻은 인기를 평가하기도 했다. 
드라마에서도 이런 분위기는 이어졌다. <욱씨남정기>의 이요원은 옥다정 역할을 맡아 '욱크러쉬'라는 별명으로 불리고 있다. 기존의 여성 캐릭터와는 다르게 상사에게도 할 말을 다하고 자신의 생각을 거침없이 표현하며 능력까지 갖춘 캐릭터로 현실적이지는 않지만 대리만족을 선사하는 캐릭터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이다. 주목할 점은 상사나 갑의 입장에 있는 이들에게 크게 한 방을 날리는 이 캐릭터가 여성이라는 점이다. 옥다정은 한국 사회의 여성의 이미지에 기반해 만들어진 캐릭터다. 사회적인 약자가 될 수밖에 없는 여성의 위치에서 자신에게 던져진 편견과 상황을 모두 극복해 나가는 진취적인 여성이기 때문에 이 캐릭터의 개성은 더욱 극대화 될 수 있었던 것이다.
 할 말 다하고 상사에게 대적하는 <욱씨남정기>속 옥다정 캐릭터
ⓒ jtbc
<욱씨남정기> 뿐 아니라 걸크러쉬 열풍의 중심에 있는 인물들 모두 상대적으로 약자로서 취급을 받아야 하는 한국 사회의 여성에 대한 인식 속에서 자신의 주체성을 가지고 시원한 한 마디를 던지며 대리만족을 전해주는 역할을 한다. 사실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위치에서 취급된다면 그들의 캐릭터가 굳이 특별할 이유가 없다. 하지만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면서도 자신의 가치관이나 성격을 그대로 드러내 보일 수 있는 솔직함은 현실에서는 적용되기 힘들기에 카타르시스를 전해주는 것이다.
그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높이고 확실한 캐릭터를 구축해가는 와중에 <언니들의 슬램덩크>같은 여성 예능도 생겨났다. 남성 중심의 예능계에서 여성의 역할을 충실 해내 그들이 여성예능의 부활을 이끌어 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기자의 개인 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를 응원하는 방법!
☞ 자발적 유료 구독 [10만인클럽]

모바일로 즐기는 오마이뉴스!
☞ 모바일 앱 [아이폰] [안드로이드]
☞ 공식 SNS [페이스북] [트위터]

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