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토끼·산토끼의 변심..'들토끼'만 680만명

신헌철,우제윤,김연주 2016. 4. 6. 17: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與野 못미덥다" 부동층 50대 제외 全연령대서 늘어..전국 120곳 격전지 판세 좌우할듯與거수기 싫은 일부 고령층 분열후 결정못한 野지지자유권자 27% 아직 부동층 기권땐 투표율 낮아질수도

◆ 총선 D-6 부동층 향방 ◆

4·13 총선이 불과 6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여야 정당들이 예측하는 판세가 너무 달라 유권자들도 헷갈리는 형국이다. 선거 예측이 힘든 이유는 이른바 부동층(浮動層·swing voter) 비중이 과거보다 높아진 데 있다. 부동층은 말 그대로 떠다니는 유권자다.

정치권에서는 '집토끼(지지층)' '산토끼(상대당 지지층)'에 빗대어 '들토끼'라고 한다. 이들 표심에 따라 전국에서 110~120곳에 달하는 안갯속 경합 지역의 향배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보통 선거일이 가까워지면 지지 정당을 확정하면서 부동층이 줄어들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오히려 비중이 늘어나면서 결과 예측을 더 어렵게 만든다.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1월 초 지지 정당을 묻는 질문에 응답하지 않거나 의견을 유보한 부동층은 22% 수준이었다. 하지만 지난달 말 '지역구에 출마한 후보 중 어느 당 후보를 지지하느냐'는 질문에 부동층이 27%로 나타났다.

중앙선관위에 따르면 20대 총선 국내 유권자는 4205만여 명, 예상 투표율(사전투표 포함)은 최고 60% 수준으로 전망된다. 단순 계산하면 투표장에는 나오겠지만 표심을 정하지 못한 유권자가 아직도 681만여 명이나 된다는 얘기다.

특히 5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층에서 부동층이 고르게 늘어났고, 60대 이상 고령층 표심이 여당으로 빠르게 쏠리지 않는 점도 특이하다.

60대 이상의 경우 유권자가 980만명으로 전 연령층에서 가장 많은 데다 투표율도 높아(19대 총선 68.6%) 약 150만표가 부동층으로 남아 있는 셈이다.

이에 대해 1차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 가운데 일부가 60대에 처음 들어선 뒤 치러지는 선거라는 점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들은 20·30대에 유신과 민주화 운동을 경험한 세대여서 무조건 보수 표라고 치부하기 어렵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새누리당이 자체 조사한 결과 50·60대 중 약 20%가 투표할 의향이 없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벌써부터 50대 이상 투표율은 지난 총선보다 낮아지는 반면 20·30대는 소폭 오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처럼 '들토끼'가 유권자의 30%에 육박하는 것은 이번 총선의 전체 프레임과도 관련이 깊다. 먼저 이번 선거는 판세를 가를 대형 이슈가 없다.

2004년 17대 총선 때는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에 따른 역풍이 한바탕 선거판을 휩쓸었고, 2008년 18대 총선 때는 수도권에서 뉴타운 열풍이 불면서 한나라당이 예상보다 많은 의석을 가져갔다. 부동층이 한 방향으로 쏠린 것이다. 또 지난 19대 총선은 사실상 대선 전초전 성격이어서 지지층 규합이 쉬웠다.

하지만 이번 총선은 전선(戰線)이 흐릿하다. 새누리당은 야당 심판론, 더불어민주당은 정권 심판론, 국민의당은 거대 정당 심판론을 꺼내들면서 뒤죽박죽된 양상이다.

3당 모두 강점을 내세우기보다 상대당의 약점만 부각하고 있다. 무엇보다 19대 국회가 역대 최악의 국회가 된 책임이 여야 모두에 있기 때문에 유권자들도 선뜻 한쪽 손을 들어주기가 어렵다는 분석이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선거는 한순간에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4년간의 시간 누적에 따른 유권자들의 판단"이라며 "지난 4년간 정치권 모습이 부동층을 늘어나게 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막판 공천 파동도 정치 혐오를 불러일으켰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중도적 성향의 국민의당이 출현한 것도 표가 두 갈래로 규합되는 시점을 지연시키는 효과를 내고 있다.

김욱 배재대 교수는 "야당이 분열하면서 어느 정당을 지지해야 할지 정하지 못한 야권 지지자들 때문에 부동층이 늘었다"고 분석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런 흐름이 계속되면 부동층 상당수가 아예 기권하면서 투표율이 낮아질 것이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김민전 경희대 교수는 "국민의당이 흡입하는 중도층보다 기존 여야 정당에 대한 분노로 늘어난 부동층이 많을 것"이라며 "이들이 아예 선거를 외면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

[신헌철 기자 / 우제윤 기자 / 김연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