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알파고' 1승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아시아경제 이현주 기자, 이경희 디자이너] 알파고 1승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인간과 인공지능의 바둑 대결에서 인공지능 '알파고'가 먼저 이겼다. 경기를 지켜 본 전 세계는 충격에 빠졌다.
알파고 승리의 요인은? 첫번째 학습 능력. 3000만건이 넘는 기보를 입력한 뒤 이를 스스로 학습하는 '딥러닝' 기법 적용됐다. 경우의 수가 많은 바둑에서 인간의 직관을 흉내내 형세 판단 능력 길렀다. 실수를 거의 하지 않고, 해도 별다른 감정의 변화가 없었다.
이세돌의 '충격패', 전 인류 '충격'
"이번 알파고의 승리로 기술의 가치가 인간의 가치를 압도하는 게 아닌가 두려운 생각이 든다" 김명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차기 회장
"기계가 인간이 압도하는 것은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가능하다고 생각했는데 현실이 된 것 같아 기분이 으스스하다" 소설가 이문열
이세돌의 패배, 알파고의 승리로 우린 두려움에 떨어야 할까?
아니다! 인류는 인공지능과 공존 관계 모색해야 한다. 구글 딥마인드 관계자는 "알파고는 궁극적으로 인간이 해내기 어려운 복잡한 질병 예측과 진단, 기후 변화 예측을 통한 재난 재해 예방, 우주 탐사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고 말했다.
두려움에 앞서 우리가 먼저 할 일은, 인공지능에 적용할 윤리적 기준 세워야.
최근 '무인차(자율주행 자동차)'의 딜레마 화두 떠오르고 있다. 자동차 사고 직전의 돌발 상황에서 보행자와 탑승자 중 누구를 살릴 것인가, 아직까지 컴퓨터가 판단할 수 없기 때문.
이현주 기자 ecolhj@asiae.co.kr
이경희 디자이너 modakid@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56억 재산 마음대로 관리"…유진박, 친이모 횡령 혐의 고발 - 아시아경제
- "우리 집 침대 엄청 잘 맞지?"…일본 톱스타, 유부남과 메시지 '발칵' - 아시아경제
- 美 30대 여성, 의붓아들과 관계 후 "10점 만점에 7점" - 아시아경제
- "파블로프 개처럼 물소리만 들어도"…샤워하다 소변 누면 큰 일 - 아시아경제
- 김재섭 "이재명, 대통령되면 금강불괴…민주주의 붕괴 시작" - 아시아경제
- 명품 두른 채 노동자 배경으로 '찰칵'…"인간 동물원이냐" 뭇매 - 아시아경제
- 세살 아기에게 화이트와인 준 승무원 "물인줄 알았어요" - 아시아경제
- 요트 가라 앉는데도 '셀카 삼매경'…미 인플루언서들 뭇매 - 아시아경제
- "여기가 맞나요?"…윈도우 바탕화면 촬영지 충격 근황 - 아시아경제
- '뇌물수수 무죄' 김학의, 1억3000만원 형사보상 받는다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