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난 + 비정규직.. 지갑마저 고개숙인 20·30

2016. 3. 8. 19: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가계소득 쪼그라드는 20∼30대.. 증가율 사상 첫 마이너스 기록

지난해 20, 30대 가구의 소득 증가율이 사상 처음으로 감소세를 기록했다. 청년 취업난이 심화되고 있는 데다 직장을 얻더라도 비정규직인 경우가 많은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8일 통계청 가계동향에 따르면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2인 이상 가구의 지난해 월평균 소득은 431만6000원으로 전년보다 0.6% 줄었다. 20∼30대 가구의 소득이 줄어든 것은 2003년 가계동향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이다.

20∼30대 가구 소득 증가율은 2011년 5.2%, 2012년 2.9%, 2013년 7.4% 등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나 2014년 0.7%로 급격히 쪼그라들더니 지난해에는 감소세로 돌아섰다. 특히 20∼30대 월급쟁이 가구의 지난해 근로소득이 0.8% 줄면서 사업소득·재산소득 등을 포함한 전체 소득 증가율이 마이너스가 됐다.

소득이 줄어든 연령대가 20∼30대뿐이라는 사실도 청년 취업난의 심각성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지난해 40대 가구 월평균 소득은 495만9000원으로 2.8% 늘었고, 50대 가구는 505만5000원으로 2.0% 증가했다. 60대 이상 가구 소득(300만4000원)은 6.8%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20∼30대 가계소득이 뒷걸음질친 원인으로는 청년실업이 가장 먼저 꼽힌다. 지난해 청년 실업률은 9.2%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그나마 취업을 한다 해도 비정규직 일자리를 잡거나 생계형 창업을 하는 사례가 많아 소득 수준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주머니 사정이 나빠진 20∼30대 가구는 소득 감소폭보다 지출을 더 많이 줄였다. 지난해 가구주가 39세 이하인 가구의 월평균 가계지출은 335만9000원으로 전년보다 0.9% 감소했다. 20∼30대 가구의 지출이 줄어든 것 역시 가계동향 조사가 시작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세종=이천종 기자 skylee@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