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아름다움 vs 겁없는 치밀함.. 'D-1', 임전의 각오
[머니투데이 이해인 기자, 김희정 기자] [이세돌 "실수 줄이고 아름다운 경기 보일 것", 알파고 측 "겁먹지 않고 직관까지 모방"]
“인간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겠다.” vs “알파고는 절대 겁먹지 않는다.”
9일 인간과 기계간 ‘세기의 바둑 대결’을 앞두고 이세돌 9단과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의 임전 각오다.
5국 전승을 자신했던 이세돌 9단은 대국을 하루 앞둔 8일 “5대 0이 아닐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다소 신중해졌지만, 여전히 승리를 자신하고 있다. 오히려 인간이라 실수할 수 있지만 그래서 더 아름다운 대국을 보여주겠다는 의지다.
미 유럽 챔피언 판후이 2단을 이기며 전적을 쌓은 알파고도 물셀 틈 없는 학습효과로 한층 업그레이드 돼 이세돌을 압박하고 있다. 겁먹지 않는 기계의 차가움이 핵심 무기다.
이세돌 9단은 8일 서울 종로구 새문안로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내외신 합동 기자회견에서 “인간으로서 저지를 수 있는 실수를 얼마나 줄이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며 “기계가 따라올 수 없는 인간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5대 0의 완승을 자신했던 입장에선 한 걸음 물러섰다. 그는 “알고리즘 설명을 들으니 알파고가 인간의 직관을 흉내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면서도 “하지만 아직까진 인간의 직관을 인공지능이 완벽히 따라오긴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알파고측 응수도 만만치 않다. 단순 모방을 넘어 수천만번의 셀프 대국을 통해 업그레이드된 알파고다. 데미스 하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CEO는 “알파고는 절대 겁먹지 않는다”며 “인간 바둑 기사가 이세돌 9단 같은 챔피언과 대결을 앞둔다면 긴장하겠지만 알파고는 기계이기 때문에 그럴 가능성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하사비스 CEO는 특히 “이세돌 9단과 얘기할 기회가 있어 수를 놓는 방법을 물었더니 경우의 수가 너무 많아 모든 것을 계산하기보단 직관에 따라 결정한다는 답을 들었다”며 “알파고는 인간의 직관을 모방하기 위해 ‘가치망’과 ‘정책망’ 2개의 신경망을 구축하고 훈련과정을 거쳤다”고 밝혔다.
인간이냐 기계냐, 승부는 점치기 어렵다. 하지만 에릭 슈미트 알파벳(구글 지주사) 회장은 승자가 누구냐를 떠나 이번 대국은 “인류의 승리”라고 남다른 의미를 부여했다.
그는 이날 기자회견에 깜짝 등장해 “최근 10년 새 인공지능이 큰 변화를 이뤄 평생 불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일들이 가능해졌다”며 “이번 게임의 승자는 인류”라고 밝혔다. 누가 이기든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더 나은 세계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란 기대감에서다.
이해인 기자 hilee@mt.co.kr, 김희정 기자 dontsigh@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