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퇴근'늘려 직장인도 문화 더 누리게 한다"
(서울=뉴스1) 박창욱 기자 = "'칼퇴근' 있어야 문화도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매달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에 정시퇴근 기업 숫자 확대, 동호회 지원 등 직장인들의 참여를 늘리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한다. '문화가 있는 날'이 평일이어서 직장인들이 참여하기가 힘든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문화가 있는 날'은 보다 많은 국민들이 문화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영화관, 공연장, 미술관 등 전국 주요 문화시설의 문화프로그램을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 향유' 확산 캠페인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업무협약(MOU) 체결 기업을 확대하는 등 '문화가 있는 날' 참여기업을 지난해 86곳에서 올해 130개로 확대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문화가 있는 날'에 정시 퇴근 또는 조기 퇴근하는 직장인들이 늘어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7일 말했다.
"직장인들이 정시 퇴근을 보장받지 못해 문화향유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조금이나마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이라며 "참여기업에는 각종 문화프로그램 참여 등 여러 혜택이 주어진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2014년 1월 처음 시행된 '문화가 있는 날'은 2년 넘게 시행되면서 외형적으로 큰 발전을 이뤘다. 참여 프로그램이 시행 첫달만 해도 883개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1월 2081개로 약 2년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
국민 인지도 역시 2014년 1월 19%에서 지난해 8월 45.2%로 2배 이상 높아졌다. 정책만족도도 80.4%를 기록했고, 재참여 의향은 96.5%에 달했다. 그러나 제 시간에 퇴근하지 못하는 직장인들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국회 등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었다.
문체부는 또 직장인 동호회 지원 대상도 지난해 39곳에서 올해 60곳으로 늘린다. 문체부 다른 관계자는 "대기업보다는 문화예술 취미활동 확산효과가 큰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강사를 파견해 동호회 활동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전국 지역별로 실시하는 생활문화제도 직장인 동호회에게 문호를 개방할 방침이다.
직장인에게 특화된 인문학 강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문체부 또 다른 관계자는 "매년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길 위의 인문학'이라는 인문학 강좌가 있는데, 직장인만을 위한 특별 강좌를 올해 따로 100회 정도 운영할 예정"이라며 "이와 함께 중소기업을 선정해 찾아가는 인문학 강좌도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체부는 이밖에도 Δ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직장으로 찾아가는 '직장배달 콘서트' 개최 Δ사옥 로비 등 직장 내 유휴시설의 문화적 활용 유도 Δ여가생활을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모범적으로 지원·운영하는 기업에 대한 '여가문화친화기업' 인증 등 다양한 직장인 문화향유 방안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cup@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 신정환 측 "방송 복귀? 논의된 것도, 할 생각도 없다"
- 알파고 다음 상대는 커제..하사비스 페북에 "준비 됐나"
- '알사범' 알파고, 세계랭킹 2위 차지..이세돌은 5위
- "돈 벌게 해주겠다"..8억 등친뒤 정신병원 도피女
- 이번엔 '농약 맥주'..헤어진 남친 살해시도
- 기말시험 기간 기숙사 침대서 4.5㎏ 거대아 출산한 여대생
- "밥버거 100개 노쇼당했다"…이웃에 무료 나눔한 자영업자 '응원'
- "육지랑 비교마라, 맛있다"…울릉도 비계반 삼겹살 1만5000원 '뻔뻔'
- 20년지기 후배, 남편과 딸 침대서 벌거벗고 함께…반성문 쓴 뒤 '배째라'
- "정수기 있는데 수돗물로 밥 차린 남편…자취 오래한 티, 정 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