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퇴근'늘려 직장인도 문화 더 누리게 한다"

박창욱 기자 2016. 3. 7. 17: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체부 '문화가 있는 날' 직장인 참여위해 '칼퇴근'회사 지난해 86곳→130개로 확대 직장동호회 지원도 지난해 39곳→올해 60곳..직장인 특화 인문학 강좌도 100회 마련

(서울=뉴스1) 박창욱 기자 = "'칼퇴근' 있어야 문화도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매달 마지막 수요일 '문화가 있는 날'에 정시퇴근 기업 숫자 확대, 동호회 지원 등 직장인들의 참여를 늘리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한다. '문화가 있는 날'이 평일이어서 직장인들이 참여하기가 힘든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다.

'문화가 있는 날'은 보다 많은 국민들이 문화를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영화관, 공연장, 미술관 등 전국 주요 문화시설의 문화프로그램을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문화 향유' 확산 캠페인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업무협약(MOU) 체결 기업을 확대하는 등 '문화가 있는 날' 참여기업을 지난해 86곳에서 올해 130개로 확대할 것"이라며 "이를 통해 '문화가 있는 날'에 정시 퇴근 또는 조기 퇴근하는 직장인들이 늘어나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7일 말했다.

"직장인들이 정시 퇴근을 보장받지 못해 문화향유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조금이나마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이라며 "참여기업에는 각종 문화프로그램 참여 등 여러 혜택이 주어진다"는 설명이 뒤따랐다.

2014년 1월 처음 시행된 '문화가 있는 날'은 2년 넘게 시행되면서 외형적으로 큰 발전을 이뤘다. 참여 프로그램이 시행 첫달만 해도 883개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11월 2081개로 약 2년만에 2배 이상 증가했다.

국민 인지도 역시 2014년 1월 19%에서 지난해 8월 45.2%로 2배 이상 높아졌다. 정책만족도도 80.4%를 기록했고, 재참여 의향은 96.5%에 달했다. 그러나 제 시간에 퇴근하지 못하는 직장인들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국회 등에서 꾸준히 제기되고 있었다.

'문화가 있는 날' 정책인지도 추이와 정책만족도 현황. 자료-문체부 © News1

문체부는 또 직장인 동호회 지원 대상도 지난해 39곳에서 올해 60곳으로 늘린다. 문체부 다른 관계자는 "대기업보다는 문화예술 취미활동 확산효과가 큰 산업단지 내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강사를 파견해 동호회 활동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전국 지역별로 실시하는 생활문화제도 직장인 동호회에게 문호를 개방할 방침이다.

직장인에게 특화된 인문학 강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문체부 또 다른 관계자는 "매년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길 위의 인문학'이라는 인문학 강좌가 있는데, 직장인만을 위한 특별 강좌를 올해 따로 100회 정도 운영할 예정"이라며 "이와 함께 중소기업을 선정해 찾아가는 인문학 강좌도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체부는 이밖에도 Δ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직장으로 찾아가는 '직장배달 콘서트' 개최 Δ사옥 로비 등 직장 내 유휴시설의 문화적 활용 유도 Δ여가생활을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모범적으로 지원·운영하는 기업에 대한 '여가문화친화기업' 인증 등 다양한 직장인 문화향유 방안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했다.

cup@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