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상 물가 '벌떡'..개인서비스 요금도 '들썩'

2016. 3. 3. 19:5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소비자물가 5개월째 상승폭 확대
마늘 49% 등 농산물값 계속 뛰어
집세·급식비도 올라 서민들 부담

소비자물가 상승률

소비자 물가가 5개월 연속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 유가 하락폭이 줄어들고 채소를 중심으로 한 먹거리 가격이 뛰어오르고 있어서다. 집세와 개인서비스 요금도 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1.3% 올랐다. 이는 지난해 1월(0.8%)보다 상승폭이 0.5%포인트 커진 것이다. 지난해 1월 단행한 담뱃값 인상(1갑당 평균 2000원) 효과를 제외하면 소비자물가는 지난해 2~5월 4개월 연속 떨어지다가, 지난해 9월 이후 상승폭을 다시 키워가고 있다.

이런 흐름은 그간 물가를 짓눌러온 국제 유가 하락폭이 줄어드는 대신 채소류 등 농축산물 가격은 꾸준히 오르고 있기 때문이다. 투자·소비가 늘어나는 등 경기에 생기가 돌아 물가 상승폭이 커지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하기 어렵다는 뜻이다.

실제 물가의 장기 추세를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상승률은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 연속 1.7~1.8%(담뱃값 인상 효과 제거) 수준에서 맴돌고 있다.

또 최근 물가가 오르는 품목이 마늘(48.9%·2월 상승률)·무(43.7%)·양파(118.6%) 등 농산물(7.2%)과 전세(4.1%), 소주(11.4%)· 학교급식비(10.1%)와 같은 개인서비스(2.9%)인 터라 이들 품목의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의 물가 부담은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경락 기자 sp96@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카드뉴스] 필리버스터 9일의 기록...다시 보는 의원들의 말말말
‘효녀연합’ 홍승희 “대통령 풍자 그림 그렸다고 검찰 소환”
윤병세, 유엔인권이사회서 ‘일본군 위안부’ 한 마디도 언급 안해
[ESC] 재밌어서 SNS 열심히 하니 일자리와 용돈이…
[곽노필의 미래창] 영상/진짜개가 로봇개를 만났을 때...

공식 SNS [페이스북][트위터] | [인기화보][인기만화][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