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대한민국 현장을 가다] 고물의 재탄생..'업사이클' 이끄는 청년들
<앵커 멘트>
우리나라에서 한해 버려지는 쓰레기는 1억 톤이 넘는다고 합니다.
쓰레기를 덜 만드는게 우선이지만 '재활용'도 중요하겠죠?
폐기물로 창의적인 재활용 제품을 만드는 젊은 업체들이 있는데요.
환경도 지키고, 질도 좋은 이른바 '착한 물건'을 생산하는 현장입니다.
신지혜 기자! 직접 나가보니 어떻습니까?
<리포트>
네, 여기 진열된 상품들은 모두 뭔가를 '재활용'해서 만든 물건입니다.
예를 들면 이런 빈 페트병 10개로 이렇게 특이한 디자인의 담요를 만드는 겁니다.
보통 재활용 제품이라고 하면 질이 좀 떨어지거나, 값이 싸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렇게 질좋고 창의적인 물건을 만들어 부가가치를 높이는걸 '업사이클'이라고 합니다.
제가 나와있는 이 곳은 2008년에 문을 연 업사이클 업체입니다.
이 천가방은 2014년 지방선거때 걷은 현수막으로 만들었다고 하고요.
이건 지하철 광고판으로 앞판을 만들고 밑면을 자전거 바퀴로 덧대 튼튼하게 제작했습니다.
이 사무실에서 어떤 자재로 어떤 모양의 물건을 만들 지 디자인을 한 다음, 저소득층 자활 작업장에 공정을 맡기는 방식으로 작업한다고 하는데요.
실제로 반응이 어떤가요?
<인터뷰> 박미현('업사이클' 업체 대표) : "소비자들도 필요한 물건을 사면서 자원순환이라는 가치까지 함께 구매한다는 느낌을 많이 받는다고 하고, 요즘에는 기업들도 많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런 업사이클 시장 규모도 100억 원 대로 늘고 있습니다.
젊은 감각을 가진 20~30대가 주로 뛰어든다고 하는데요.
이 업체 역시 사무실 직원 모두 30대 미만입니다.
신선한 감각을 가진 청년층이 새로운 자원 순환 모델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KBS 뉴스 신지혜입니다.
신지혜기자 (new@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영상] 이 정도는 돼야..주차의 달인
- [영상] 캡슐 분리에서 터치다운까지..'고릴라'의 귀환
- 퉁퉁 부은 종아리를 부탁해~ 초간단 마사지법
- '간도대학살' 사진 공개..日 만행 '생생'
- '닥공' 전북 vs '무공해' 서울, 당신의 선택은?
- [단독] 도이치 주포 “김건희, 내 덕에 떼돈 벌어…22억 원 주문”
- 공사비 안 줘 피소당한 윤석열 정부…관저 옆 골프시설도 확인
- “검찰, 고쳐 쓸지 버려질지 기로에” 임은정 지검장 취임사 일성
- [영상] 정진우 서울중앙지검장 첫 출근…“신뢰받는 검찰 되도록 노력”
- 한성숙, 네이버 주식 다 처분 예정…스톡옵션 6만주 행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