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사람' 부정적 상황 잘 대처하는 뇌 가졌다

김판 기자 2016. 3. 2. 21: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재진·김은주 교수 연구팀 논문
삶의 만족도가 높은 사람의 뇌는 나쁜 정보를 접했을 때 ‘안쪽 전전두피질’이 활성화되며 정서조절 기능을 하는 신경망(노란 동그라미)에 이를 활발히 전파해 그 영향을 최소화했지만(왼쪽), 만족도가 낮은 사람의 뇌는 그런 전파 기능이 미약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

삶에 만족도가 높은 사람이 부정적 상황에 더 잘 대처하는 뇌 구조를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재진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와 김은주 연세대 교육대학원 교수 연구팀은 2일 ‘행복한 사람이 자기 부정적 정보 처리에 더 많은 신경망을 사용한다’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인간은 자신과 관련된 외부 정보를 처리할 때 특히 활성화되는 뇌의 영역이 있다. 뇌의 앞쪽(미간 뒤쪽)에 위치한 이곳의 이름은 ‘안쪽 전전두피질’이다. 연구팀은 삶의 만족도와 안쪽 전전두피질 활성화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뇌를 관찰하는 실험을 했다. 삶의 만족도가 높은 19명과 낮은 21명을 대상으로 기능자기공명영상(fMRI)을 촬영했다. fMRI는 뇌 각 부분의 신경세포 활성화를 관찰할 때 쓰인다.

연구팀은 얼굴 세 종류와 단어 세 종류를 하나씩 조합해 실험 대상자에게 제시했다. 얼굴은 피실험자 자신과 공적인 인물, 낯선 인물이었다. 단어는 자유·존경·사랑 등 긍정적인 것, 범죄·실패·공포 등 부정적인 것, 법률·분석·방향 등 중립적인 것이었다.

실험 결과 삶의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 자신의 얼굴과 부정적 단어가 결합됐을 때 안쪽 전전두피질이 가장 많이 활성화되는 모습이 포착됐다. 이때 안쪽 전전두피질은 뇌의 정서 조절영역인 편도체·뇌섬엽과 높은 수준의 신경 연결도를 보였다. 행복한 사람은 자신과 관련돼 나쁜 정보가 외부에서 제시됐을 때 뇌가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얘기다. 반면 삶의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는 자신의 얼굴과 긍정적 단어의 조합이 제시됐을 때 안쪽 전전두피질이 가장 많이 활성화됐다.

김재진 교수는 “외부의 부정적 정보에 적극 대응하는 사람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사실이 증명됐다”며 “행복한 사람은 부정적 자극의 영향을 최소화시키고 회복탄력성이 높은 뇌 구조를 갖고 있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논문은 지난달 22일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이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에 게재됐다.

김판 기자 pan@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