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산업생산 1.2% 감소..수출·내수 위축 영향
올 1월 전체 산업생산이 한 달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수출 감소가 계속되고 내수부진으로 광공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줄어든 영향이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 자료를 보면 1월의 전체 산업생산은 전달보다 1.2% 감소했다.
지난해 10월(-0.8%)과 11월(-0.5%) 연속 감소했던 전체 산업생산은 12월 들어 1.3%로 반등했지만 한 달 만에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1월에는 건설업이 소폭 증가했지만 광공업과 서비스업 등에서 전반적으로 생산이 부진하면서 하락세에 영향을 미쳤다.
광공업 생산은 기타운송장비(11.1%)와 통신·방송장비(12.7%) 등에서 증가했지만 반도체(-10.1%)와 자동차(-3.6%) 등 주력품목이 감소하면서 전달과 비교하면 1.8% 줄었다.
제조업 재고는 한 달 전보다 2.2% 늘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1.1% 하락한 72.6%를 나타냈다. 제조업 재고율은 128.4%로 전달보다 7.8%포인트 상승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보건·사회복지(0.9%), 숙박·음식점(1.0%) 등에서 증가했지만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3.5%), 예술·스포츠·여가(-7.7%) 등이 줄어 전월보다 0.9% 감소했다.
소매판매는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5.7%)와 의복 등 준내구재(0.7%)가 늘었지만 승용차 등 내구재(-13.9%) 판매가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줄며 전월보다 1.4%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2.5%)와 운송장비(-11.0%)에서 투자가 모두 줄어든 영향으로 6.0% 감소했다.
최정수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1월 수출 부진이 심화한 것과 맞물려 반도체,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광공업 생산이 감소했다"며 "서비스업 생산은 1월 한파 등 영향으로 줄었다"고 설명했다.
서영진기자 artjuck@dt.co.kr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인기폭발 'SM6', 사전계약 고객중 30-40대 비중이..
- '힘없는 전기차' 편견 깬 아이오닉.. 최고시속 무려
- 두루마리처럼 돌돌 마는 '롤러블 TV' 나온다
- 자동차 룸미러에 카메라 달았더니.. 후방시야가 2배로
- 갤S7·G5 지원금 '눈치싸움'.. 언제 사야 가장 유리할까
- 원안위, 국내 최초 원전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원전 해체 시장 열렸다
- "선생님, 보험 안 돼도 로봇수술로 해주세요"…수술 로봇 수입 1년 새 57% 증가
- 트럼프, 이란과 핵협상 한다면서 무력충돌 가능성도 제기
- 하반기 산업기상도 반도체·디스플레이 `맑음`, 철강·자동차 `흐림`
- `6조 돌파`는 막아라… 5대은행, 대출조이기 총력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