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아파트 '말뚝박기'부터 엉터리..평가지 조작
[앵커]
건물을 지을 때 지반을 강화하고 건물 하중을 견디게 하기 위해 콘크리트 말뚝을 박는 공정이 있습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기초공사인데요. 이 말뚝부터 엉터리로 박고 공사를 하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측정부터 안전진단까지 조작과 허위로 점철돼 있었습니다.
배승주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콘크리트 말뚝을 박는 공사장에서 한 작업자가 서류에 흙을 묻히고 있습니다.
말뚝이 제대로 박혔는지를 확인하는 검사지가 현장에서 잘 작성된 것처럼 꾸미려는 의도입니다.
[(도면 그리신 거죠.) 네. 그린 거예요. (흙 묻히는 장면도 일부러 자연스럽게 보이기 위해선가요?) 네. 죄송합니다.]
경남 양산과 부산의 아파트 건설현장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포착됐습니다.
[경남 양산 A 아파트 시공사 관계자 : 제가 (볼 때는) 대한민국 다 그럴 거예요.]
지반강화를 위한 말뚝 시공의 경우 우선 모든 말뚝에 대해 목표한 깊이까지 제대로 박혔는지 1차 검사를 해야 합니다.
이후 1% 정도의 표본을 뽑아 2차 평가를 하는데 일부 작업장에서 1차 평가를 생략하고 평가지만 허위로 작성하는 겁니다.
그런데도 시공사들은 표본검사를 통과했으니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정말 그럴까?
2011년 준공된 전북 군산의 한 아파트는 7개월 만에 안전진단 C등급을 받았고 지금도 균열이 가고 물이 샙니다.
부실한 말뚝 시공이 주된 이유로 밝혀졌습니다.
[유영호/군산 OO 아파트 당시 감리단장 : 조작된 측정지, 허위로 작성된 재하시험 보고서로 설계변경이 이뤄졌고, 잘못된 안전진단보고서로 준공이 이뤄졌죠.]
2014년 건설 도중 기울어져 철거된 충남 아산의 7층짜리 오피스텔 건물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런데도 일단 공사가 끝나면 덮여서 보이지 않는 곳에선 부실시공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타일 떨어지고 스프링클러 막히고..황당 '날림' 시공
- [국내 이모저모] 갑자기 식당 천장 와르르..밥먹다 날벼락
- 준공 2년 만에 누전..나주 빛가람대로 '부실시공' 논란
- 공사 중 공법변경·자재누락..수십억 빼돌린 일당 검거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