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토지대장-등기부 다른 땅 '진짜 주인' 찾아준다
서울시가 연말까지 토지대장(지적공부)과 등기부 상 소유자가 일치하지 않는 땅의 진짜 주인을 찾는 작업에 나선다.
시는 1937~1991년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환지 처분된 토지(85만 4,097필지) 가운데 토지대장과 등기부가 일치하지 않거나 등기가 누락된 땅에 대한 일제 조사를 실시하고 정비하는 ‘시민의 땅 소유자 찾아주기’ 사업을 연내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사업을 통해 등기가 누락되거나 오류가 있는 경우 바라잡아 등기하고, 실소유자에게 개별통보하게 된다.
‘토지구획정리사업’은 서울시 면적의 22%인 133.15㎢(58개 지구) 면적에 걸쳐 시행된 대규모 택지개발 사업으로, 사업 전 토지(종전토지)를 구획 정리한 후 새로운 토지로 돌려주는 ‘환지방식’으로 시행됐다. 환지가 되면 기존 토지는 없어지고 새 토지대장(지적공부)과 등기부가 만들어지는데, 이때 청산금 미납, 등기 신청 누락 등 이유로 기존 토지의 등기 상태로 남아있는 경우가 발생됐다.
일제조사는 각 자치구에서 토지대장과 등기가 불일치하거나 등기가 환지 전 종전토지로 등기된 토지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청산금을 체납해 등기되지 않은 환지의 경우 체납자에게 납부고지서를 발송, 납부 즉시 등기를 신청해주고 소재불명 등 이유로 청산금 징수가 불가능한 경우 환지등기 신청과 동시에 해당 재산을 압류조치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는 3월 중으로 관계부서, 25개 자치구와 TF팀을 구성하고 대법원 등 부동산 등기 관련 기관과도 협조할 예정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과거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환지처분된 토지의 실 소유자를 찾아 시민혼란을 해소하고 재건축 등 각종 정비사업도 속도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재유기자 0301@sed.co.kr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덕수·토허제·명태균?…오세훈 '돌연 불출마'에 경선 구도 '출렁'
- 관세 ‘90일 유예’한 美, 의회 건너뛴 ‘간단 무역합의’ 추진할 듯
- 오세훈, 대선 불출마 '기승전 反 이재명 넘어야'
- 삼성 파운드리, '4나노'로 퀄컴 XR 칩 만든다 [biz-플러스]
- '명망가 대신 5·18 유가족' 관행 깬 이재명 후원회 출범
- 이재명 '국가의 부는 기업이 창출한다'…新산업정책 예고
- '부동산 시장 향방, 대선 후보 공약 대신 금리·경기에 달려'
- 금은방에서 온누리 상품권 쓴 미성년자들…알고 보니 '꼼수 금테크'?
- 불황은 남의 일…'인재 모시기' 열풍 분 산업은
- 김경수, 내일 세종서 대선 출마 선언…'노무현 꿈' 잇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