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생부'로 갈라진 與..공천 헤게모니 쟁탈전 치열(종합)

2016. 2. 29. 18:5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경환 "당 대표 관련된 일 얼버무려서 될 일 아니다" 최고위서 김무성-정두언 대질신문까지 추진 김무성 "떠도는 얘기로 심려 끼쳐 사과"..'봉합' 수순

최경환 "당 대표 관련된 일 얼버무려서 될 일 아니다"

최고위서 김무성-정두언 대질신문까지 추진

김무성 "떠도는 얘기로 심려 끼쳐 사과"…'봉합' 수순

(서울=연합뉴스) 안용수 이신영 현혜란 기자 = 새누리당이 4·13 총선의 공천 살생부가 터지면서 기습 한파가 덮쳤다.

정체불명의 살생부는 일부 친박(친박근혜)계 인사가 포함하기도 했지만 대부분 비박계 의원들을 담고 있어 '비박 살생부'로도 불린다.

제거하려는 측에서 만들었을 수도, 지키려는 쪽에서 퍼뜨렸을 수도 있지만 본질은 양 계파의 공천 헤게모니를 쥐려는 치열한 쟁탈전에서 비롯됐다는 게 정치권의 대체적인 인식이다.

당장 친박계는 발끈하며 논란의 진앙에 선 김무성 대표를 겨냥했다. 살생부의 진위를 떠나 논란 자체가 마치 정권이 공천에 개입한 듯한 음험한 인상을 강하게 풍기기 때문이다.

최경환 의원은 2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다른 사람이면 모르지만 당 대표 본인이 얘기했으니 명쾌히 해명해야 한다"면서 "진상이 밝혀지지 않고 흐지부지 가서는 안되며, 본인이 얼버무린다고 될 문제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태흠 의원을 비롯한 일부 친박계 의원은 의원총회에서 김 대표와 이번 논란의 또 다른 당사자인 정두언 의원을 향해 "진실을 밝히라"며 고함을 지르기도 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친박계가 우위인 최고위는 긴급 최고위를 소집해 정 의원의 소명을 듣기도 했다. 성사되지는 않았지만 김 대표와 '대질 신문'까지 벌이려 할 만큼 분위기는 날카로웠다.

그러나 진상조사를 요구하는 수준에서 멈추고, 친박 일부 강경파의 주장처럼 김 대표의 사퇴 촉구까지는 나아가지 않았다.

김 대표 역시 논란에 대한 사과 표명을 하며 한발 물러서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김 대표는 "공관위의 공정성을 저해되지 않도록 하고, 공천과 관련해서 공정성을 저해하는 언행에 대해 클린공천위원회가 즉각 조사해 엄정하게 조치하도록 한다는 최고위 결정사항도 수용한다"면서 "국민과 당원께 심려를 끼쳐 드린 점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재오 의원도 기자들과 만나 "선거 때 되면 이런 것은 흔히 나오는 이야기"라면서 "역대 선거에서 한번도 이런 일이 없이 넘어간 때가 없다. 그냥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선거구 획정과 쟁점 법안의 통과가 지연되는 가운데 벌어지는 이전투구 양상에 여론의 반응이 싸늘히 식자 사태를 더 몰고 가면 양측 모두에 이롭지 않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번 사태가 이대로 수그러들기는커녕 공천 다툼은 이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는 시각이 팽배하다.

친박계와 비박계는 여전히 서로의 의도를 의심하며 공천장을 받아들 때까지 힘겨루기를 벌일 것으로 예상된다.

친박계에서는 어차피 공천을 줄 수밖에 없는 서울 험지의 단수신청자인 정두언(서대문을) 김용태(양천을) 의원 등도 명단에 들어 있다는 점에서 '자작극'이라는 강한 의심을 품고 있다.

한 의원은 "아마도 명단에 포함됐다는 40여명은 국민공천제를 하자고 난리 치지 않겠느냐"면서 "상당한 주도권을 쥐고 가던 이한구 위원장에게 제동을 걸기 위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다른 의원은 "한마디로 자해 공갈"이라고 비판했다.

반면 비박계 한 의원은 "자기 식구 중 약한 고리에 있는 사람 몇 명 치고 정적을 학살하는 것은 고전적 수법"이라면서 "지난 총선에서는 친이계들이 맥없이 물러났지만 이번에는 다르다"고 별렀다.

이날 신경전이 벌어진 대표 최고위원실의 백보드에는 국민 쓴소리를 담는다면서 '정신차리자, 한순간 훅간다'는 문구가 새로 걸렸지만, 공천 살생부를 둘러싼 내부 논란이 확산되면서 "아직도 정신 못차렸다. 이러다 훅갈 수 있다"는 자조어린 얘기가 당 관계자로부터 나오기도 했다.

aayyss@yna.co.kr

☞ '중학생 딸 시신방치' 목사 부부에 살인죄 적용 못해
☞ '치인트' 제작진 "원작자 배려 부족…이윤정PD 사과"
☞ "살인범·강간범이 훈장을"…정부 포상관리에 '허점'
☞ 음주운전 중 뒤차 경적 울리자 후진해 '쾅'
☞ 밤만 되면 출몰…'노란패딩 바바리맨' 검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