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자녀 33% "부모 지인 통해 일자리 얻은 적 있다"
또 고용주를 부모로 둔 자녀의 절반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로 구직활동에 도움 받은 적이 있으며, 이 중 10명 중 4명은 부모 회사에 직접적인 취업 제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바이트 전문포털 알바천국이 20세 이상 35세 이하 청년 1,18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결과에 따르면, 구직활동 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로 도움 받은 경험이 있다’고 대답한 응답자가 전체 10명 중 2명 꼴(21.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직업을 13개 직군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특히 ‘고용주’ 부모를 둔 응답자들이 ‘사회경제적 지위로 구직활동에 도움 받은 적 있다’가 47.6%로 절반 가까이 이르며 1위에 오른 점이 눈에 띈다.
이어 ‘공무원’(35.3%), ‘고소득 자영업자’(33.3%)가 30% 넘는 비율로 나란히 2. 3위에 올랐으며, ‘교수·교사등 교육직’(28.8%), ‘의사·변호사·예술가 등 전문직’(23.3%)이 5위권에 올라, 안정적이고 전문적인 직업의 부모를 둔 자녀들일수록 구직활동에 도움 받은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에게 받은 도움의 형태는 각 직군의 특징별로 1위 응답에 차이가 있어 눈길을 끈다.
먼저 ‘부모를 통해 일자리 정보를 인지한다’는 응답은 ‘사무직’(34.1%)과 ‘서비스직’(41.2%) 등 일반 직장인 부모를 둔 자녀에게서 가장 높은 응답을 얻었다,
이에 비해 조금 더 적극적인 개입인 ‘부모 지인을 통해 일자리를 연결받았다’는 응답은 ‘공무원’(32.5%), ‘교육직’(31.4%), ‘고소득자영업자’(45.9%)에서 1위에 올라 상대적으로 인맥을 잘 활용하는 직업군으로 나타났다.
또한 ‘큰 금액의 금전적 지원’의 경우 ‘의사·변호사·예술가 등 전문직’(30.8%)에서 1위에 올라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을 가장 많이 한 직업군으로 드러났다.
무엇보다도 직접적 취업과 연결되는 ‘부모가 근무하는 회사에 직접 자리 연결 받았다’는 응답은 ‘고용주’ 자녀에게서 41.7%의 높은 비율로 1위를 차지해, 다른 직업군과 확연한 차이를 보이며 최고의 금수저 집단으로 등극했다.
반면 가장 소극적인 개입인 ‘해당직업에 대해 조언하는 정도’는 ‘저소득자영업자’(29.4%)와, 단순노무직(44.4%)에서 1위에 올라 타 직업군과 차이를 보인 점도 특징이다
알바천국 관계자는 “극심한 취업난 속에 청년 구직자들은 부모의 배경과 지위까지 하나의 스펙으로 여기는 풍토가 생겨나고, 부모의 입장에서도 자신의 지위를 활용해 취업에 개입할 수 밖에 없는 씁쓸한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CBS노컷뉴스 이전호 선임기자] j1234@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빠한테 맞아 죽겠다 싶었죠" 모텔방 전전하는 아이들
- 수영 前 국가대표 감독 "연맹비리에 박태환도 당했다"
- 추락 경비행기, 작년 10월에 점검..블랙박스 없어 미궁
- "대학OT 왜 이러나"..건대 '성추행' 논란
- [역사강의] 유관순 열사가 교과서에서 빠진 진짜 이유
- [뒤끝작렬] 朴정부 경찰수장 수난시대…자업자득인가
- [뒤끝작렬] 스러진 DJ의 장남과 공허한 '좌파 독재'
- 문 대통령 "김정은 위원장에게 핵포기하고 경제 택해야 얘기했다"
- 가까스로 살아난 '패스트트랙'…향후 정국과 변수는?
- 폼페이오, “이란 밖 나가는 원유 없을 것"...한국 등 수입금지 예외 종료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