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對北 제재 결의안' 러 "검토시간 필요" 제동
북한에 대한 강도 높은 제재 방안을 담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결의안 초안에 러시아를 제외한 14개 이사국이 동의했다. 그러나 거부권을 가진 상임이사국이자 북한의 우방인 러시아가 검토 시간을 갖겠다며 결정을 미뤄 결의안 채택은 금주 중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가 동의할 경우 북한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제재 결의안은 만장일치로 채택된다.
유엔 안보리는 지난 25일(현지시간) 이사국 회의를 소집해 미국과 중국이 합의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된 초안을 15개 이사국이 모두 회람했다. 이후 안보리 이사국 대표들은 신속하게 초안을 회람한 뒤 동의 의사를 밝혔고 27일 결의안을 채택하는 일정에 찬성했다. 그러나 러시아가 문건 검토에 시간이 필요하다며 동의 여부를 밝히지 않아 미국과 중국이 주도한 당초 결의안 채택 일정은 불발됐다.
표트르 일리이체프 유엔 주재 러시아 부대사는 “결의안이 기술적 문서이고 이제 막 받았다”며 “많은 양의 세부사항과 분석이 필요한 부록들을 포함하고 있어 검토에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러시아는 언제 표결할 준비가 되겠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표결 시점은 이번 주가 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아울러 일리이체프는 러시아가 결의안 내용에 대해 수정을 요구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비쳤다. 그는 “우리는 (북한이) 유엔 안보리의 이전 결의들을 위반했고 이에 대한 대응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면서 “그러나 그것은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리야 자하로바 러시아 외무부 대변인도 같은 날 정례 브리핑에서 표결 시점과 관련해 “중요한 것은 시점이 아니라 내용”이라면서 언제 표결이 이루어질지에 대한 전망은 아직 없다고 말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 역시 27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의 전화통화에서 북한 주민 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재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라브로프 장관은 케리 장관과의 통화에서 “국제사회의 대응은 단호해야 하며 북한의 핵·미사일 프로그램 지원 채널을 차단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면서도 “동시에 어려운 북한의 인도주의적 상황을 고려하고 민간 경제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북한과 외국 파트너들 간의 합법적 관계에 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고 러시아 외무부는 전했다.
앞서 비탈리 추르킨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도 지난 1월 “새로운 안보리의 대북 제재 결의가 북한의 인도적, 경제적 붕괴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
[관련기사 보기]
▶中 우다웨이 오늘 오후 방한…사드 반대 도발 되풀이 가능성?
▶中우다웨이 방한…“한중 서로 존중 기초 필요” 사드 꺼내나
▶사드 갈등에도 韓-中 "경제협력은 이상무"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긴급] 김포공항서 경비행기 추락..조종사 등 2명 사망 추정
- "아버지, 너무 보고싶어요" 캐나다까지 떠밀려간 한글 편지 뭉클
- 비행기 이착륙시 창문 덮개를 열어놓아야 하는 이유 세가지
- "어젠 박근혜, 오늘은 박정희 대통령" 필리버스터 성대모사 영상
- "지금 전화 들어주세요" 순천 출사표 낸 김광진 의원의 부탁
- 셀린 송 감독 “‘기생충’ 덕분에 한국적 영화 전세계에 받아들여져”
- “태아 살리는 일은 모두의 몫, 생명 존중 문화부터”
- ‘2024 설 가정예배’ 키워드는 ‘믿음의 가정과 감사’
- 내년 의대 정원 2천명 늘린다…27년 만에 이뤄진 증원
- “엄마, 설은 혼자 쇠세요”… 해외여행 100만명 우르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