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폭탄' 우주쓰레기를 피하라.. 5월 민·관·군 첫 합동훈련
우주 쓰레기나 소행성이 갑자기 지구로 떨어지면 어떻게 될까. 대기권에서 다 타지 않고 지상까지 낙하한다면 엄청난 피해를 줄 수 있다. 이런 일에 대비하는 민·관·군 합동훈련이 오는 5월 국내에서 처음 실시된다. ‘우주 물체’ 추락에 따른 대형 재난에 대비한다는 취지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26일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개최하고 ‘2016년 우주위험 대비 시행계획’과 ‘우주개발 시행계획’ 등을 확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우주위험 대비 대응체계 구축이다. 정부는 5월 홍남기 미래부 1차관을 본부장으로 하는 우주위험대책본부를 중심으로 민·관·군 합동훈련을 실시한다.
미래부와 미국 항공우주국(NASA·나사)에 따르면 지구 궤도 우주공간에는 10㎝ 이상의 쓰레기가 약 2만1000개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1∼10㎝ 크기는 50만개, 1㎝ 이하는 1억개 이상이다. 인공위성이 충돌, 폭발해서 생겼거나 발사체가 분리되면서 남은 잔해 등이다. 1957년 이후 발사된 인공위성 약 7000개 중 3000개가 추락했다. 소행성과 같은 자연 우주물체는 지구에 매일 100t가량 떨어지고 있다.
대부분 우주물체는 낙하하면서 대기권에서 연소돼 위험하지 않다. 그렇지만 정부는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김현수 미래부 우주기술과장은 “1t급 이하는 대부분 불에 타 없어지지만 우주정거장처럼 큰 물체의 경우 다 타지 않고 일부 덩어리가 떨어질 수 있다”면서 “이 경우 특정한 지역에서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뉴욕에 50m 크기의 소행성이 떨어지면 1000만명이 피해를 볼 것으로 예측한다. 우주 쓰레기가 현재 활동 중인 우리 위성에 충돌하는 것도 심각한 우주위험이다.
정부는 5월 민·관·군 합동훈련에서 지난 1월에 마련한 ‘우주위험 대응 행동 매뉴얼’을 숙달할 계획이다. 위기경보 ‘심각’ 단계에서 상황 전파와 사고수습 등을 연습한다. 해당 매뉴얼은 안보 관련 내용이 포함돼 비공개다.
미래부는 자체 기술로 추락하는 우주물체를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개발할 예정이다. 올해 전자광학 감시체계 구축에 26억9000만원, 레이더 시스템 연구에 3억7000만원을 투입한다. 우주 잔해물 능동 제거기술 개발에도 6억3000만원을 투자한다.
또 미래부는 우리나라 최초 우주탐사 프로젝트인 달 탐사 사업에 올해부터 2018년까지 3년간 1978억원을 투입한다. 한국형 발사체 개발도 이어간다.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시행계획’을 마련, 차세대 중형 위성 등의 수출을 활성화하는 일도 추진하기로 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OST가 더 야해"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최악의 영화 '올킬'
- "박수쳤다고 퇴장?" 끌려 나가는 방청객 사진에 '공분'
- 국회의원 대신 '열일'하는 방청객들..본회의장 대조
- 중랑의 쎈언니 서영교 의원, 필리버스터 준비상황에 '후덜덜'
- [영상] 인종차별 논란 낳은 입술..네티즌들 왜 분노하나
- 셀린 송 감독 “‘기생충’ 덕분에 한국적 영화 전세계에 받아들여져”
- “태아 살리는 일은 모두의 몫, 생명 존중 문화부터”
- ‘2024 설 가정예배’ 키워드는 ‘믿음의 가정과 감사’
- 내년 의대 정원 2천명 늘린다…27년 만에 이뤄진 증원
- “엄마, 설은 혼자 쇠세요”… 해외여행 100만명 우르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