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변 공작물 충돌 사망자 매우 높아.. '클리어 존' 설치 필요
도로변 공작물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 일반사고보다 5.6배나 많아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공작물 설치 매뉴얼을 정비 등 법제화 필요”
[쿠키뉴스=김진환 기자]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29일 ‘도로변 공작물 충돌 교통사고 현황 및 대응 방안’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발표한 내용을 보면 공작물 충돌 교통사고 건수 점유율은 전체 사고건수의 2.0%에 불과하나 사망자 점유율은 11.2%로 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작물 충돌사고 100건당 사망자수는 12.8명으로, 총사고건수의 사망자 수 2.3명에 비해 무려 5.6배나 높은 수치다. 사고 100건당 사망사고건수도 12.6건으로 일본(4.7건)의 2.7배, 영국(2.8건)의 4.5배에 달했다.
교통사고 예방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드레일/중앙분리대 등의 방호시설을 제외하고, 전봇대/가로등 같은 전력/조명시설(19%), 교각/옹벽 구조물(18%), 가로수/조경시설(13%)과 충돌한 순서대로 사고가 많았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의 공작물 사고로 인한 피해가 교통선진국 대비 심각한 이유는 도로변에 근접하여 무문별하게 설치된 전봇대 같은 구조물 때문이다.
현재 이에 대한 법률적 기준이 미비한 상태이고, 담당 공무원의 공작물 설치에 따른 안전대책 수립 지시 권한 및 업무 매뉴얼도 없는 상태다.
운전자가 깜박 졸거나 전방주시를 태만히 하여 자동차가 순간적으로 도로 밖으로 나가게 될 때, 일정 구역의 안전지대가 있으면 사고가 나지 않고 다시 주행도로로 돌아올 수 있다.
해외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도로를 ‘용서의 도로(Forgiving Road)’라 부르며 도로 바깥의 일정 구역을 클리어존(Clear zone)으로 설정하여 공작물 설치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일부 도로 구간에 대해서 접도 지정은 하고 있으나, 위험공작물의 정의, 설치방법, 사고 예방에 관한 매뉴얼 등이 없고 형식적인 설정에 그치고 있다.
이번 관련해 김상옥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우리나라 도로변 공작물 충돌사고에 따른 사망확률은 선진국 대비 약 2~3배 정도 높은 상황이다”며 “지자체 교통안전 담당자는 우선 도로변 공작물이 운전자의 생명을 심각히 위협하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연구원은 “도로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소한의 도로변 안전 지역이 확보되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공작물 설치 매뉴얼을 정비하는 등제반 법제도 및 행정절차를 선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goldenbat@kukinews.com
[쿠키영상] "잘 자요~" 뇌종양 수술 중 슈베르트의 가곡을 부르는 오페라 가수 '전율'
[쿠키영상] 행방불명 2년 만에 주인의 손으로 돌아온 '기적의 동영상'...성층권에서 촬영된 지구의 모습
'손예진 닮은꼴' 류아진 "남자들은 다 눈 감아용~" 볼륨 가슴 뽐내
갓 구워낸 바삭바삭한 뉴스 ⓒ 쿠키뉴스(www.kukinews.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대 총선 지역구 7석 증가..16개 신설 9개 통·폐합 소멸
- 신경민 의원, "필리버스터는 새누리당 공약.." 새누리에 직격탄 날려
- 영남제분 윤길자 사건 故하지혜 오빠 "매주 母 찾아뵜다"..'영양실조' 보도 불쾌감 전해
- [학교폭력 그 후④] '학폭'을 모르는 학폭위, 분쟁만 키우는 제도
- [학교폭력 그 후③] "우리 아인 아직도 침대 밑에 숨는데..그 녀석들은 학교 잘 다니겠죠?"
- 대선주자 출사표…스타일·메시지도 ‘각양각색’
- 막 오른 오사카 엑스포…“대화와 교류의 무대 되길”
- ‘3연패 탈출’ KT, BNK 꺾고 시즌 첫 승 [쿠키 현장]
- ‘당원 50%, 국민 여론조사 50%’…민주, 경선룰 결정
- 오세훈 이어 이정현, 대선 불출마…“대선 후보, 뒤에서 돕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