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호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용의, 필요시 미국에 요청"
유일호 부총리가 “언젠가는 한미 통화스와프를 체결할 필요가 있으며 필요한 시점이 되면 이를 미국 측에 요청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 부총리는 27일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중앙은행 총재회의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한미 통화스와프는 한국은행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와 협약을 통해 원화를 기축통화인 달러와 교환해 달러 유동성 위기에 대처하는 것을 말한다.
한국은 지난 2008년 10월 금융위기 당시 미국과 300억달러 한도의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듬해에 달러 유동성 위기가 잦아들면서 2010년 2월 이를 해지했다. 우리는 현재 중국과 3600억위안(64조원) 규모의 원ㆍ위안화 통화스와프를 체결한 상태이며 이번 G20 회담에서 이를 연장하는 것을 논의하기로 했다.
유 부총리가 한미통화스와프 필요성을 직접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구체적인 시기를 못 박지는 않았지만, 외환시장의 상황에 따라 한미 간 관련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유 부총리는 “기본적으로 한미 통화스와프를 다시 체결하는 것은 맞으며 안정성 등에서 의미가 큰 만큼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최근 미국 금리 인상과 중국경제 불안, 신흥국 경기침체 등 대외여건이 악화되면서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유 부총리는 27일 제이컵 루 미국 재무장관과의 양자면담에서 이를 공식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그는 “필요한 시점이 되면 하자고 하겠지만 통화스와프 요구가 시장에 잘못된 시그널을 주고 한국이 어렵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며 “체결할 용의는 있지만 다급하다는 인상을 주면 안 되므로 얘기를 꺼내진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G20회의 합의사항과 관련해 유 부총리는 “각국이 가능한 한 모든 통화정책과 재정정책을 총동원해 글로벌 경제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힘을 합치자는 것이 주된 결론”이라고 전했다.
그러나 이번 G20회의에서 주요국 환율정책의 혼란을 막기 위한 논의가 진전되지 못한 것에 대해 그는 “올들어 위안화와 엔화가 변동한 것은 갑작스러운 일로 논의를 위한 준비시간이 부족해 결론이 나오기 어려운 상황이었다”며 “다만 회의 기간 중국 측이 위안화 안정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수차례 강조했고 일본도 통화정책이 인위적 환율조정을 겨냥한 것은 아니라고 설명했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시진핑, 베트남 도착해 “더 깊은 협력 원해”... 동남아 끌어들여 美견제
- 국힘, 금요일 조기 퇴근 ‘주 4.5일 근무제’ 대선 공약 추진
- “소고기 원산지 속여 판다”…허위제보한 40대 전직 호텔 조리사 구속기소
- 9900원 빵 뷔페에 남겨진 음식 쓰레기들…”직원들 피눈물 난다”
- “여성 초급 장교 성폭행 하려했다”...검찰, 공군 대령 구속 기소
- 강기정 광주시장 “이번 주 중 광주공항 국제선 임시개항 신청”
- 한국어 못했던 다문화 소녀, 베트남 주재원 된 비결
- K-pop fans are buying flight info—and it’s getting out of hand
- 베르사체 메두사 로고 뒤에 숨겨진 이야기
- 해양심판원, 세월호 참사 원인 ‘조타기 고장·복원력 부족’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