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권·정서 다른데"..영주·상주 선거구 통합 불만

2016. 2. 28. 14:0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주·상주=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경북 영주시와 상주시 주민들은 28일 그동안 유력하게 거론된 대로 선거구 획정안이 나오자 불만을 표시하며 아쉬워하고 있다.

통합된 선거구지역과 생활권과 문화권, 정서 등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획정안에 따르면 영주는 문경·예천과 통합됐고 상주는 군위·의성·청송과 선거구가 합쳐졌다.

영주는 그동안 단독 선거구였다가 문경·예천과 통합돼 시민들 상당수는 못마땅해하고 있다.

박찬훈 영주시의회 의장은 "생활권, 동질성 면에서 문경과는 차이가 많이 나고 봉화와 생활권이 같아 봉화와 묶였으면 했는데 아쉽다"며 "3개 시·군에서 1명의 국회의원을 뽑으면 상황에 따라서는 지역발전 등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지역이 나올 수도 있다"고 말했다.

선거구로 묶인 3개 시·군 가운데 인구는 영주가 가장 많다.

안동 일부에서는 경북도청이 안동·예천 접경지로 옮김에 따라 예천을 안동과 합쳐줄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

안동과 예천이 도청 소재지가 됐고 생활권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상주에서도 의성·군위·청송 선거구와 통합하는 데 반대해왔다.

상주는 의성과 인접해 있지만 군위와 청송은 멀어서 별다른 교류가 없기 때문이다.

상주에서 자영업을 하는 김모(49)씨는 "의성과는 생활권이 어느 정도 같다고 해도 군위·청송은 지리적으로 왕래하기가 쉽지 않은데 선거구 조정이 시민들 정서를 거의 고려하지 않은 것 같다"고 불만을 보였다.

임부기 상주시의원은 "경북은 선거구가 2개 줄어 농촌지역 발전을 희망하는 유권자들의 바람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도시지역만 더 혜택을 보는 방향으로 조정이 됐다"고 지적했다.

경산과 통합 선거구에서 떨어져 나와 영천과 묶인 청도 주민들도 이번 획정안에 불만을 보였다.

영천과 청도는 일부지역이 붙어 있지만 생활권과 문화권이 전혀 다르다.

이번 총선 예비후보 가운데 영천 출신이 열심히 뛰고 있지만 청도 출신 예비후보는 아직 없는 상태다.

또 후보들이 인구가 많은 영천에 집중할 가능성이 커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영천 출신 예비후보들은 선거구 획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청도에서도 본격 선거운동에 나설 태세다.

한 예비후보측은 "그동안 영천에서만 선거운동을 했는데 앞으로는 청도에도 거점을 마련해 본격 얼굴 알리기에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haru@yna.co.kr

☞ '엉덩이가 예쁘다' 성희롱 성추행 교사 집행유예
☞ 주부 아빠와 직장인 엄마 레고…21세기 장난감의 진화
☞ 저커버그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 담벼락 구호 훼손에 격노
☞ '최악 가뭄 나몰라라'…짐바브웨 무가베, 초호화 92세 생일잔치
☞ '스토킹' 중년남 살해 미혼여성 참여재판 받는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