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든 정의 TECH+] 미래의 3D 직종은 로봇이?..쓰레기 수거 로봇 등장
[서울신문 나우뉴스]
최근 자동화와 로봇, 그리고 자율 주행 기술이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런 새 기술은 인간을 힘들고 어려운 노동에서 해방하고 생산 효율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지만, 한편에서는 자동화로 인한 실직을 걱정하게 합니다.
양쪽 의견 모두 일리가 있지만, 시대의 흐름과 기술의 발전을 뒤로 돌릴 수 없다는 것만큼은 분명합니다. 이미 로봇이 여러 분야에 진출해 있으며 앞으로는 더 많은 로봇이 등장하겠죠. 앞으로는 힘들고 어려운 궂은일은 대부분 로봇이 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예를 들어 오늘 소개할 쓰레기 수거 같은 작업이 그렇습니다.
오늘날 대도시는 몇 주만 쓰레기를 내버려두면 도시가 마비되고 말 것입니다. 쓰레기를 분리 수거하는 일의 중요성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하지만, 사실 매우 힘들고 어려운 일인 것도 사실입니다.
볼보와 스웨덴의 찰머스 공과대학(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멜라르달렌 대학 그리고 미국의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 그리고 쓰레기 수거 회사인 레노바(Renova)는 공동으로 로봇 기반 자동 쓰레기 수거(Robot-based Autonomous Refuse handling·ROAR)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로봇이 하는 일은 간단합니다. 쓰레기통을 트럭으로 옮기고 쓰레기를 비운 뒤 다시 제자리에 갖다 놓는 일입니다. 이 과정은 힘들기는 해도 사람에게는 복잡하지 않은 일입니다. 그러나 로봇에게는 매우 어려운 일 가운데 하나입니다.
일단 쓰레기통의 위치를 확인하고 로봇이 이 위치까지 간 후 다시 되돌려 놓아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사람이나 주변 사물, 차량과 충돌하지 말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로봇이 이 모든 것을 실시간으로 인지하고 회피해야 합니다.
이는 10년이나 20년 전이라면 거의 불가능한 일이지만, 최근 인식 기술과 자율 주행 기술의 발달로 이제는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ROAR 시스템은 자동 쓰레기 수거 차량과 ‘로어리’(ROARY)라고 불리는 로봇, 그리고 항공 정찰을 위한 드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드론으로 쓰레기통의 위치를 찾으면 로봇이 회수하는 것이죠. 현재는 개발 중이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지만, 앞으로 이런 자동화 시스템이 사람 대신 쓰레기를 거둘 가능성은 충분합니다. 사람이 하는 일은 모든 것이 제대로 되는지 감시하고 관리하는 일입니다.
자동 쓰레기 수거 시스템은 점차로 자동화되는 미래의 일부에 불과합니다. 앞으로 3D 직종의 전부는 아니더라도 상당수는 로봇과 자동화 시스템이 대체할 수 있을 것입니다. 힘들고 어려운 일에서 해방된다는 점에서는 인류에게 축복이지만, 누군가는 직장을 잃을 수도 있다는 딜레마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기술의 발전이 뒤로 가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에 이런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사회적 차원의 준비가 필요하겠죠.
사진=볼보
고든 정 통신원 jjy0501@naver.com
[나우뉴스 다른기사 보러가기]
☞ 청사에서 알몸으로 사랑 나눈 공무원…CCTV 포착☞ MBA 출신 ‘엄친딸’ 커리어우먼, ‘포르노 배우’로 데뷔☞ 유기견에게 동화책 읽어주는 아이들☞ EU 정상회의 중 화장실서 외교관 남녀 ‘성관계’ 논란☞ 맛있는 음식 먹으면 고릴라도 노래 부른다(연구)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청사에서 알몸으로 사랑 나눈 공무원..CCTV 포착
- [Tip]"하루 30분 영어" 서울대 출신이 개발해 화제
- MBA 출신 '엄친딸' 커리어우먼, '포르노 배우'로 데뷔
- 유기견에게 동화책 읽어주는 아이들
- EU 정상회의 중 화장실서 외교관 남녀 '성관계' 논란
- “의원 배지 떨어진 설움” 민경욱 국회왔다 새차 견인당해
- 아파트 방화살인범 안인득, 무기징역 감형 불복 대법원 상고
- 목줄 없이 달려든 개에 놀라 전치 3주…견주 벌금 50만원
- “박사방 22GB 싸요 싸”… 아직도 조주빈은 있다
- “양질의 일자리 부족 가장 큰 원인… 직무능력으로 임금 받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