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묘하게 '사드 궤적' 바꾸는 미국..'스텝 꼬인' 한국
이한주 2016. 2. 27. 21:09
[앵커]
한반도 사드 배치를 추진하던 미국이 유엔 대북 제재안 마련을 계기로 미묘하게 입장을 바꾸고 있습니다. 결국 미국은 사드 배치 문제를 대북 제재안을 이끌고 중국을 견제하는 용도로 활용한 게 아니냐 이런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먼저 이한주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은 북핵실험 직후 한미상호방위조약을 근거로 사드 배치를 공론화했습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북한의 위협에서 자국민과 한국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조치를 하겠다"고 발언하며 사드 배치 필요성을 강조했고, 해리 해리스 미 태평양 사령관은 "중국의 사드 배치 반대는 터무니 없다"며 사드 배치를 기정사실화했습니다.
하지만 중국과의 대북 제재안 합의를 기점으로 입장이 변하기 시작합니다.
[존 케리/미국 국무장관(지난 23일) : (북한의) 비핵화만 이룰 수 있다면, 사드를 (한국에) 배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해리 해리스/미국 태평양 사령관(지난 25일) : 한국과 미국은 사드를 배치하기로 합의한 것이 아니라, 사드 배치를 논의하기로 한 것입니다.]
사드가 대북 제재를 위해 중국의 협력을 끌어내는 지렛대였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미국은 이란 미사일 문제와 관련해 러시아의 협력을 끌어내려 폴란드와 체코에 미사일 방어체계를 추진했다 철회한 전례도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국가 안보를 위해서는 사드 배치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지만, 미국의 입장이 미묘하게 달라지면서 혼란스런 상황에 빠졌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JTBC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중국 "사드 배치 최종 결정 한국에 달렸다"..정부 압박
- 미-중 회담 후 급변하는 한반도 정세..우리 전략은?
- 국방부 "사드, 대북제재와 별개" 입장 재확인
- 미국 태평양사령관 "사드 논의한다고 반드시 배치하는 것 아냐"
- 왕이 중 외교부장 "사드 레이더 한반도 초월"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