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 부채 리스크'에 떠는 수출업계들
중국 기업의 부채 규모가 급증하면서 중국 수출 기업들이 위험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대기업들은 환헷지나 상대 기업 신용도 조사 등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중소∙중견업체들은 뚜렷한 대책이 없어 자칫 큰 낭패를 볼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중국 기업의 부채 급증 빨간 불
중국의 부채 수준은 과거 한국∙미국∙유럽연합(EU) 등 금융 위기를 겪은 나라들 보다 심각하다. 국제결제은행(BIS)은 2015년 2분기 기준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 비율이 243.7%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 EU(228.2%), 미국(230.9%) 보다 더 많다.
중국의 부채 규모는 2009년부터 2014년까지 연평균 20% 가량 증가했다. 기업 부채가 전체의 67%나 된다.
부동산과 제조업의 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다. 부동산 부문의 부채는 2007년 6조8000억위안에서 2014년 34조7000억위안으로 늘었다. 제조업 부문의 부채는 2007년 9조9000억위안에서 2014년 30조위안으로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의 부채가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란 전망을 내놓고 있다. 주요 기관 이코노미스트 12명 중 7명은 중국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이 2019년까지, 4명은 2020년 이후에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고 블룸버그가 최근 전했다.
중국 기업들의 급격한 부채 증가는 국유 기업의 과도한 팽창과 생산 과잉이 원인이다. 국제적인 수요 부진, 공급 과잉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하락, 한계 기업을 지키려는 지방 정부의 과잉 보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EU상공회의소는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중국의 국유기업들은 국유은행으로부터 대출을 쉽게 받고 있으며 국유기업 도산으로 인한 실업 증가, 은행 부실을 우려한 지방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회사채 발행 규모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중국인민은행은 2015년말 기준 중국의 미상환 회사채가 14조6000억위안에 달한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 25% 늘었다.
회사채 발행 급증은 중국 정부가 은행들의 악성 대출 규모를 줄이기 위해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을 유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월스트리트저널은 “회사채 시장 확대는 금융 위험을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발 부채 리스크, 국내 기업 대비책은?
중국발 부채 리스크가 커지면서 우리 기업들은 노심초사하고 있다. 한계 기업의 도미노식 도산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무디스는 최근 발간한 ‘위안화 채권 모니터’ 분기보고서에서 “신용 환경 개선과 위안화 가치 절하 추세 속에 작년 위안화 채권발행이 급증했다”며 “생산 과잉 해소가 절박한 석탄∙철강 기업 중 10여곳이 올해 디폴트를 선언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기업들의 채무 불이행 가능성이 커지면서 금융 위험 역시 높아지고 있다.
천용찬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중국 부채 발 리스크 확대에 따른 경기둔화가 대중국 수출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 중국의 금융 리스크 확대가 국내 외국인 투자자의 이탈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상시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대형 상사들은 중국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계약 체결 시 ‘환헷지’, ‘대금 결제 기간 단축’ 등의 조건을 내걸고 있다.
대우인터내셔널 관계자는 "중국의 급격한 환율 변동 등에 대비해 환헷지를 하고 있다. 현지의 주요 업체와 산업 동향 등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LG상사 관계자는 “사전 계약시 상대 업체의 신용도 조사에 유념하면서 무역보험 등 대비책도 놓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중소∙중견업체들이다. 25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한∙중 FTA 종합대전’에 참석한 한 중소업체 대표는 “비교적 신용도가 좋은 바이어는 마진율이 낮다. 마진율을 좀 더 주겠다는 곳은 외상 거래를 요구한다. 딜레마에 빠질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코트라와 한국무역보험공사 등은 중국 진출하려는 기업들은 반드시 안전장치를 확보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이학도 한국무역보험공사 전문위원은 “사전 바이어 신용도 조사부터 선적전 보험, 선적후 보험 등 다양한 보험을 활용해야 한다. 중국에 영세 수입 업자가 많아 계약 이전 기업 신용도 조사는 필수”라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가덕도신공항 재입찰 시기 ‘미정’…국토부가 망설이는 세 가지 이유
- 현대로템, 수소연료전지 탑재 K3 전차 시제 개발
- [세종 인사이드아웃] ‘소비쿠폰 금액 가려라’… 공무원들 “하루 종일 스티커 붙여요” “사
- 거대 선사, 소규모 운반선 대거 교체… 韓 조선 일감 늘듯
- [IPO 뜯어보기] 조선업 호황 올라탄 에스엔시스… 순익 185억으로 몸값 2800억원 정조준
- ‘김정규 회장 법정구속’ 에어프레미아, 다시 매물로 나올 가능성은
- 3기 신도시 수주 나선 중견 건설사들… “리스크 적고 분양도 안정적”
- [금융포커스] OK저축은행 ‘연 10%’ 적금에 짠테크족 뿔난 이유는
- 위기의 K- 제조업 구하라⋯정부·재계·국회 “피지컬AI”
- [공정위 핫이슈] ‘스드메’ 가격 숨기면 과태료 1억?… 고시 개정 팔 걷은 공정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