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전기차 배터리 추격 뒤엔 둥펑車 CEO 출신 장관
먀오웨이 공업정보화부장…900억원 들여 배터리 공동연구 추진
2000~3000개 난립한 배터리 업계 구조조정도 추진
지난해 미국을 제치고 세계 최대 전기 자동차 시장으로 부상한 중국이 핵심 부품인 배터리 독자 기술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중국에서 현지 생산공장을 가동중인 LG화학과 삼성SDI의 전기차 배터리 사업에 위협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이를 주도하는 인물이 먀오웨이(苗圩∙61) 공업정보화부 부장(장관)이다.
먀오 부장은 지난 25일 국무원 기자회견에서 9개 기업들과 손잡고 5억위안(약 900억원)을 들여 ‘(가칭)전기차 배터리 연구원‘을 만들고 있다고 밝혔다. 먀오 부장은 공동 연구개발 플랫폼이라고 소개했다. 먀오 부장은 둥펑(東風)자동차의 최고경영자(CEO)를 지낸 자동차 전문가다. 둥펑차는 기아자동차의 중국 합작파트너이자 닛산자동차와도 합작공장을 운영중인 국유 자동차기업이다.
허페이(合肥)공업대학에서 내연기관을 전공한 그는 중국의 자동차 유통업체와 생산업체에 근무한 뒤 둥펑자동차의 CEO에 올랐다. 둥펑차 본사가 있는 우한(武漢)시 당서기와 공업정보화부 부부장(차관)을 거쳐 2010년 12월부터 공업정보화부 부장을 맡아왔다. 국유기업과 지방정부의 고위직을 역임한 뒤 중앙부처의 관료로 승진하는 이른바 중국의 전형적인 엘리트 코스를 밟은 인물이다.
먀오 부장이 언급한 전기차 배터리 연구원 추진은 하루 전인 지난 24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가 국무원 상무회의에서 확정한 전기차 육성 방안에 전기차용 배터리의 독자 개발 능력을 확대하는 내용이 포함된 것과 무관치 않다.
(25일 기자 참조)중국, 공공기관 신차 절반 이상 전기車 의무화
‘전기차용 배터리(기술)의 혁명적 돌파를 가속화 한다’는 게 그것이다. 리 총리는 이를 위해 기업 대학 연구소등이 협력해 배터리 혁신 플랫폼을 구축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산학연 협력 체제로 핵심 소재는 물론 배터리 시스템 개발 등 기초 연구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은 또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은 점차 줄이는 대신 배터리 기업들에 대한 보조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리 총리가 내놓은 전기차 육성방안에 따르면 정부 재정을 통해 배터리 성능과 판매량을 기준으로 (배터리)기업들에게 인센티브를 주기로 했다.
반면 중국 당국은 이미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2017~2018년 2016년 대비 20% 줄이고, 2019~2020년엔 40% 축소하고, 2020년 이후엔 폐지하는 것을 골자로한 보조금 축소 방안을 발표했다. 전기차 산업의 양적 성장보다는 질적 성장에 더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먀오 부장은 “배터리가 전기차의 성능 품질 안전을 좌우한다”며 공동 연구기지 구축은
중국 제조 2025’의 주요 프로젝트라고 소개했다. ‘중국 제조 2025’는 중국이 제조업 대국에서 독일과 일본을 뛰어 넘는 제조업 강국으로 가기 위해 지난해 가동한 대형 장기 국책 사업이다. 먀오 부장은 지난해 6월부터 공산당 국가 제조강국 건설 영도소조(領導小組, 리딩 태스크포스)의 부조장을 겸직하고 있다.
공업정보화부는 특히 LG화학과 삼성SDI가 생산하는 삼원계 방식의 배터리를 사용한 전기차에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해 보호주의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이미 지난해에만 전기차용 배터리 사업에 중국 안팎의 기업들이 900억위안(약 16조 2000억원)을 투자하는 등 이 분야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춘제(春節, 설) 이후 지난 24일까지 열흘간 리판(力帆) 등 3개 상장사가 전기차 배터리 사업을 위해 총 30억위안(약 54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공시를 내보냈다고 전하기도 했다.
중국 당국은 그러나 2000~3000개로 추정되는 배터리업체가 저급한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에 앞다퉈 나섬에 따라 최근 리튬이온 배터리 규범화 방안을 내놓는 등 수준 낮은 기업을 도태시키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다. 중국 언론들은 저급한 수준의 전기차용 배터리는 이미 공급과잉 상태라고 전했다.
중국이 반도체 스마트폰에 이어 한국의 차세대 먹거리 중 하나인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도 빠른 속도로 추격하고 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담대 규제’ 금융위원장 칭찬한 李… “큰 효과 봤다”
- 비트코인 사상 최고가인데… 한국선 200만원 싼 ‘역 김치프리미엄’
- [그들은 왜 삼성을 떠났나]② 공정 결함 축소하고, 아이디어 도전 어려워… “경쟁사는 내부 경
- [뉴테크] ‘배터리 폭발’ 뿌리부터 잡는다…韓·中, 차세대 기술 개발 경쟁
- [단독] 압구정 3구역, 재건축 올스톱 위기…시가 2조6000억원 어치 땅 서울시·현대건설·현대산업
- 한국·중국 유독 많은 혈액암…K면역항암제가 간다
- ‘정책 엇박자’ 먹구름 끼는 재건축… 공사비 3.3㎡당 1000만원 넘는데 대출 규제까지
- 찜통 더위, 침실까지 바꿨다… 냉감 침구 수요 증가
- 현대차그룹 계열사, GBC 지연에 기약 없는 ‘셋방살이’
- KTX·SRT 분리 10년 만에 다시 불붙은 ‘통합론’… 국정위도 검토 착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