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더P] 새누리 총선 공천신청자, 친박 13%, 친이 4%
정치권이 4·13 총선을 앞두고 본격적인 공천심사체제에 돌입하면서 분주한 모습이다. 새누리당은 공천신청 접수를 마감한 결과 총 822명이 신청해 평균 3.34대1의 경쟁률을 보였고 더불어민주당은 총 381명이 신청해 평균 1.5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레이더P는 25일 '더민주 총선 공천신청자, 친노 20%, 친DJ 2% 친박원순 2%'보도에 이어 이번에는 새누리당 공천신청자들의 과거 이력을 살펴봤다. 새누리당 역시 더불어민주당 공천신청자들과 마찬가지로 계파적 정체성을 여감없이 드러내는 예비후보가 다수 확인됐다.
'친박'이라는 단어를 직접 사용한 신청자도 발견됐다. '친박연대 사무총장'은 물론 '친박연대 공동 대표최고위원' 등이 발견돼 마치 '친박'이라는 이력을 내세우면 공천을 받을 것이라는 확신에 차 있는 모습마저 상상됐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레이더P와 통화에서 "공천심사 과정 중 '친박'이 빠져서는 안된다"며 "친박을 내세우는 것은 곧 공천을 받을 수 있다는 예비후보자들의 희망이 반영된 것"이라고 전했다.
경기도의 한 지역구에서는 총 6명의 예비후보자 중 4명의 후보가 '친박'이라는 이름을 내세우기도 했다. 이들 후보자 4명은 하나같이 자신이 18대 대통령선거에 참여한 진정한 친박이라며 공천심사위원들에게 '어필'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친이(친이명박)'이라는 이력 역시 빠지지 않고 등장했다. 울산 울주군 강정호 예비후보는 '제17대 대통령선거 울산경선대책위원회 총괄본부장'이라는 타이틀을 내세웠다. 공천신청자 중 4%에 해당되는 총 32명의 예비후보자가 '이명박 대통령'의 후광을 업고 공천 전쟁에 뛰어든 것이다.
반면, 예비후보자 중 나머지 83%의 경우 이념 혹 계파적 성향을 알 수 없는 '중립'의 선을 지켰다. 자신의 계파를 우선시하기 보단 변호사, 사업가 등 직업을 구체화 해 타 후보자들과의 차별성을 중시했다. 한 예비후보는 "물론 저도 대선에 참여한 경력이 있지만 기입하지 않았다"며 "다른 후보자들과 똑같은 이력을 낸다는 것 자체가 스스로 떳떳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이동석 기자 / 그래픽=김혜진]
[정치뉴스의 모든 것 레이더P 바로가기]
기사의 저작권은 '레이더P'에 있습니다.
지면 혹은 방송을 통한 인용 보도시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안철수맨' 송호창 의원, 20대 총선 불출마 왜?
- 보건당국 "원주 C형간염 집단감염 피해자 치료비 지원"
- 먹고 살기 힘든 청년들, 작년 20~30대 가계소득 사상 첫 감소세
- 108주년 세계 여성의 날..UN, 1975년부터 매년 3월 8일 공식 지정
- 정부, 러에 나진-하산 프로젝트중단 통보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