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기 팍팍해지는 서울..고용 줄고 물가상승률은 높아

2016. 2. 25. 12: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고용 마이너스 성장 속 물가 상승률 전국 최고 서울인구 순유출 13만7천명..18년 만에 최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연합뉴스 자료사진>>

작년 고용 마이너스 성장 속 물가 상승률 전국 최고

서울인구 순유출 13만7천명…18년 만에 최다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지난해 서울 지역의 고용은 감소세로 전환되고 물가는 전국 평균보다 높게 뛴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5일 발표한 '2015년 4분기 및 연간 지역경제동향'을 보면 지난해 서울의 취업자 수는 513만5천명으로 전년보다 0.2% 감소했다.

지난해 전국의 취업자 수는 제조업과 음식·숙박업 등의 고용 호조로 전년보다 1.3% 증가한 2천593만6천명이었다.

취업자 수가 뒷걸음질친 것은 16개 시·도 가운데 서울을 포함해 부산(-0.6%), 경북(-0.6%) 등 3곳뿐이다.

서울의 고용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09년(-1.7%) 이후 6년 만이다.

반면에 제주(5.3%), 충남(3.2%) 등 나머지 지역은 음식·숙박, 제조업 위주로 고용이 늘면서 증가세를 나타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에선 서울이 16개 시·도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작년 원유 가격 하락으로 전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0.7%에 그쳤으나 서울은 1.3%를 기록했다.

물가 상승률이 1%대를 기록한 것은 서울과 인천(1.0%) 2곳에 불과하다.

강원, 전북, 전남, 경북은 전년과 변함없어 0%를 기록했고 충북(-0.1%)의 물가는 오히려 하락했다.

취업난, 물가 상승, 전셋값 상승 등과 겹쳐 지난해에만 서울에서 13만7천300명이 순유출된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의 순유출 인구규모는 1997년(-17만8천명) 이후 18년 만에 가장 큰 것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서울에서 음식·숙박업 고용 부진이 이어지고 있지만 특별히 개선되는 모습이 보이지 않고 있다"며 "다른 지역보다 공동주택 관리비 등 주거비용 하락세도 둔화했다"고 설명했다.

작년 광공업 생산에선 전남(8.0%), 제주(7.3%), 부산(7.1%)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전국의 광공업 생산은 0.6% 감소했으나 이들 지역은 선박, 음료 등의 호조로 증가했다.

경남(-7.0%), 서울(-5.2%) 등은 부진했다.

서비스업 생산과 소매판매에서는 '유커(遊客)'로 불리는 중국인 관광객 때문에 제주가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전국의 서비스업 생산이 2.9%에 그친 가운데 제주는 금융·보험, 부동산·임대 등의 호조로 6.1% 증가했다.

소매판매 증가율은 전국 평균이 3.4%였지만 제주는 7.8% 늘었다.

작년 전국의 건설수주는 전년보다 48.3% 증가했다.

세종(-27.5%)과 경남(-5.3%)은 감소했지만 울산(184.0%), 대전(133.8%), 전북(109.1%) 등은 가파른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국 수출도 전년 대비 8.0% 감소했지만 제주(13.8%), 충북(7.1%), 부산(6.0%) 등은 증가하고 전남(-22.0%), 울산(-21.0%), 경북(-15.6%) 등은 감소했다.

한편 작년 4분기 소비자물가도 서울이 1.8% 올라 16개 시·도 가운데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음식·숙박, 주류· 담배 가격 상승으로 전국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전년 동기 대비 1.1% 올랐다.

구입 빈도가 높은 항목들을 중심으로 추린 생활물가는 전국이 0.3% 오른 가운데 역시 서울(1.2%)이 인천(0.5%), 경남(0.5%)과 더불어 높은 상승세를 기록했다. 충북(-0.9%), 경북(-0.8%) 등 대부분 지역은 하락세를 보였다.

4분기 전국 취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5% 늘었다.

부산(-0.6%)과 서울(-0.5%)은 감소하고 제주(7.7%), 울산(5.0%) 등은 도소매, 건설업 등의 호조로 증가했다.

porque@yna.co.kr

☞ 화순서 여친 살해·시신유기한 10대 체포
☞ 화장실에 21시간 갇혀있던 할머니 "추운데 왜 이제 와" 버럭
☞ 쇠구슬 넣어 새총 발사…이웃집 창문 '와장창'
☞ 50대 아저씨, 성희롱·폭력에 '상대적 관대'
☞ '응답하라 1988'…애니콜에서 갤럭시까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