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 쏟아붓고는 흉물 전락..'누더기' 된 특화거리들

구석찬 2016. 2. 24. 21:4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지역마다 주변 상권을 살린다며 거액을 들인 특화거리를 조성하고 있는데요. 부실시공 탓일까요? 금세 바닥이 패이고 깨지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구석찬 기자입니다.

[기자]

부산 북구청이 6억원을 들여 4년전 조성한 구포 피아노거리입니다.

낙동강변 명품길로 대대적으로 홍보됐지만 지금은 지진이라도 난 듯 입간판이 흔들거리고 바닥이 갈라져 버렸습니다.

이같은 현상은 380m 전 구간에서 발생했습니다.

무거운 악기를 쉽게 운반하기 위한 특수 콘크리트를 빗물이 흐르는 연약 지반 위에 포장한 탓입니다.

[강덕호/피아노 조율사 : 발이 걸려 넘어지는 일도 발생했었고 울퉁불퉁해서 (피아노를) 이동하는데 불편한 점이 많다고 봐야죠.]

70억원을 들인 부산대 앞 명물거리도 마찬가지.

1년 전부터 곳곳에서 화강판석이 떨어져 나와 보수작업이 끊이질 않습니다.

나주 혁신도시의 중심가 빛가람로 일대는 웅덩이같은 포트홀이 속속 생겨났습니다.

준공 2년도 채 안 돼 300건의 하자가 났는데도 나주시와 시공사는 책임공방만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역 특색을 살린다며 예산을 쏟아부은 특화거리들이 부실시공 의혹 속에 주민조차 외면하는 흉물로 전락하고 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