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종환 "초등 교과서에 위안부 사진·용어 사라져"

김성곤 2016. 2. 24. 17:3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논의 거치지 않은 국정교과서의 한계"
초등학교 6-1 사회과 교과서 비교 분석(자료=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올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배울 사회과 교과서(이후 최종본 교과서)에 위안부 사진과 용어가 삭제됐다. 이는 2014년에 발행했던 실험본 교과서(이후 실험본 교과서)에 실려 있던 내용이 삭제된 것이다.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4일 초등 실험본 교과서에는 ‘전쟁터의 일본군 위안부’라는 사진 제목과 함께 “전쟁터에 강제로 끌려가 일본군의 성 노예가 되었다”라는 사진 설명이 서술됐다“고 밝혔다.

다만 최종본 교과서에는 사진이 삭제되고 “강제로 전쟁터에 끌려간 젊은 여성들은 일본군에게 많은 고통을 당하였다”고 서술했다. ‘위안부’와 ‘성 노예’라는 표현이 삭제되고, 구체성이 결여된 서술로 바뀐 것이라고 도 의원은 평가했다.

또 최종본 교과서는 2011년 발행된 교과서(이명박정부 국정교과서)에 실렸던 5·18 민주화운동 관련 사진 중 계엄군 관련 사진을 빼고, 본문에 ‘계엄(군)’이라는 용어도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군대를 동원하여 폭력적으로 진압하였고, 이 과정에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였다”고 서술하여 계엄군의 발포로 인해 시민들이 죽은 사실을 ‘희생’이란 단어로 축약해 버렸다고 도 의원은 지적했다.

이밖에 2011년 발행된 교과서에는 유신헌법의 초헌법적 특징을 캡션을 통해 학생들의 이해를 도왔다. 하지만 최종본 교과서에서는 모두 삭제됐다. 대신 “국가 안보와 지속적인 경제 성장이 필요하다고 주장”이란 문장을 비판 없이 삽입했다.

아울러 2014년 실험본 교과서에는 “정부가 무상보육 제도를 마련했다”고 서술했지만, 최종본에는 ‘무상’이란 용어를 삭제하고 ‘육아비용 지원’으로 변경했다. 최근 누리과정을 둘러싼 논란을 의식한 서술로 풀이된다.

도 의원은 “위안부 서술을 강화하지는 못할망정 ‘위안부’라는 용어 자체를 쓰지 못한 교과서를 보며 충격을 받았다”며 “박근혜 정부는 2015년 일본과 맺었던 위안부 협상과 교과서 서술 관계에 대해 명확히 해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아울러 “결국 사회적 논의를 거치지 않은 국정교과서의 한계”이라며 “집필진과 집필기준조차 미공개하고 있는 중등 역사과 국정교과서는 얼마나 문제가 많을지 걱정”이라고 꼬집었다.

초등학교 6-1 사회과 교과서 비교 분석(자료=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

김성곤 (skzer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