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연안서 독성해파리 매년 6∼7종 출현

2016. 2. 24. 17: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쏘임사고 때는 바닷물로 씻어주고 악화땐 병원치료"
노무라입깃해파리
커튼원양해파리
작은부레관해파리
유령해파리

"쏘임사고 때는 바닷물로 씻어주고 악화땐 병원치료"

(부산=연합뉴스) 이종민 기자 = 기후 온난화에 따른 수온상승으로 국내 연안에 독성해파리 출현이 잦아지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이 발간한 '2015년 한국 연근해 해파리 출현정보 자료집'에 따르면 지난 한해 우리나라 연안에 출현한 독성 해파리는 6∼7종에 이른다.

노무라입깃해파리, 커튼원양해파리, 입방해파리, 작은부레관해파리, 유령해파리, 야광원양해파리 등이 독성 해파리로 분류된다

노무라입깃해파리는 우리나라 동·서·남해 전해역에서 발견된다. 5월에 어린 개체들이 나타나기 시작해 초겨울까지 꾸준히 발견된다. 우산의 지름이 1∼2m에 이를 정도로 대형해파리다. 전체 길이가 5m에 이르는 것도 있고, 무게는 무려 150kg을 넘는다. 양식어업과 해수욕객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종이다.

커튼원양해파리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입다리의 모양이 커튼처럼 부드럽게 주름져 있어 매우 아름답다. 우산의 지름은 10cm 전후로 중형에 속한다. 다리를 포함한 전체 길이는 30∼50cm 정도다.

유영하거나 떠다니면서 촉수에 걸리는 먹이를 잡아 먹는다.

실내 사육실험에서 길이 3cm 가량의 어린 물고기는 촉수에 닿는 즉시 죽을 정도로 독성이 강하다. 그러나 사람에 대한 직접적인 피해는 알려진 것이 없다. 아마 주된 분포지역이 연안에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는 경남 남해안 연안에서 관측됐다.

입방해파리는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해류의 흐름이 약한 남해연안 내만에서 수온이 25도에 달하는 여름철 표층에서부터 수심 3m 사이에서 3∼4주 정도만 출현한다.

우산의 직경이 3cm 안팎으로 소형이다. 촉수를 포함한 전체 길이는 15cm에 이른다.

그러나 작지만 독성 해파리로 악명이 높다. 몸체가 거의 투명하고 작아서 낮 동안에는 이들의 존재를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여름철 피서객들이 영문도 모른 채 이 해파리에 쏘여 고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작은부레관해파리는 10cm 정도의 부레 아래에 맹독성의 파란색 촉수가 늘어진 형태다.

물표면에 주로 떠다닌다. 바람이 불면 해안가까지 밀려든다. 파란색의 작은 봉투모양을 하고 있어 이를 보고 호기심에 만지다 촉수에 쏘이는 경우가 많다. 2012년 제주 연안에 많이 밀려와 그해 20여 명이 이 해파리에 쏘이는 피해를 봤다.

유령해파리는 연한 우윳빛 몸체를 가졌다. 우산의 크기는 30∼50cm로 대형종이다. 촉수는 우산 내부의 잘 발달된 근육 사이에서 수백개씩 덩어리져 내려온다. 독성이 강하다. 주로 7월부터 11월까지 남해안 일대에 분포하나 적은 양이 서해에 출현한다.

야광원양해파리는 7∼8cm 크기의 우산 위에 울퉁불퉁한 자포낭이 산재해 있다. 밤에 밝은 선홍색의 형광 빛을 내는 생물발광기관이 잘 발달돼 있다. 자포에는 강한 독성이 있어서 치어 등을 먹이로 한다. 5∼8월 제주도와 남해안에 주로 출현한다.

보름달물해파리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가장 흔하게 보이는 해파리다. 우산의 크기는 15cm 안팎이고 독성은 매우 약한 편이다. 다른 수산물을 어획하는 과정에서 그물을 가득 메워 고기가 들지 못하게 하거나 원전 취수구 등에 대량으로 유입돼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간혹 있다. 연중 출현하며 5∼10월에 대량 출현한다.

국립수산과학원 한창훈 연구사는 "연안 기온이 상승하면서 해파리의 국내 연안 유입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며 "독성 해파리에 쏘일 경우에는 바닷물을 이용해 상처 주변을 씻어 주고 상처부위를 만질 때는 고무장갑이나 수건을 사용해 촉수를 조심스럽게 제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응급처리 후에도 심한 통증이나 호흡 곤란, 붉은 반점 등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가까운 병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국립수산과학원은 해파리 출현 모니터링 결과를 홈페이지(www.nfrdi.re.kr)에 공개하고 이메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으로 유관기관과 어민에게 제공하고 있다.

ljm703@yna.co.kr

☞ 말이 많으면 탈이 난다더니…류준열 잇단 루머 몸살
☞ 상습적으로 폭력 휘두른 남편 살해한 아내 징역4년
☞ 부축해준 여직원 성추행...1억 수표로 무마 시도 '엄벌'
☞ 입에 모래 넣어 호흡정지로 사망…살해범 징역 20년
☞ 최일구 전 앵커 사기 혐의로 피소…검찰 수사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