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B하나은행, 임금피크제 개선..정년 60세 연장·연봉 260% 지급
KEB하나은행과 옛 하나은행 노동조합이 시중은행 가운데 마지막으로 정년 연장과 전 직원 임금피크제 적용에 합의했다.
KEB하나은행은 옛 하나은행 직원을 대상으로 정년을 58세에서 60세로 연장하는 대신, 만 55세부터 임금피크제를 적용하기로 했다고 24일 밝혔다. 임금피크제 적용 대상은 기존 관리자급(부지점장 이상)에서 책임자 이하 전 직원으로 확대됐다.
임금피크제 대상자는 5년 동안 임금피크제 적용 직전 연봉의 260%를 나눠 받게 된다. 지급률은 첫 해인 만 55세 때 80%, 만 56세 60%, 만 57·58·59세 40%를 각각 받는다.
임금피크제 1년차 직원의 임금은 성과를 반영해 지급하기로 했다. 최근 2년간 근무 성적에 따라 관리자급은 10%포인트, 책임자급은 5%포인트가 각각 차등 적용된다. 따라서 임금피크제 적용 첫 해에는 관리자급은 70~90%, 책임자급은 75~85%의 임금을 받을 수 있다.
임금피크제 적용 대상은 매년 상·하반기 각 1회씩 선정한다.
임금피크제 적용 후 1년 이내 특별퇴직하면 잔여 급여 합계액의 100%를 특별퇴직금으로 지급한다. 그동안 임금피크제 특별퇴직금은 잔여급여 합계액의 90%를 적용했었다.
임금피크제는 오는 3월 1일부터 책임자급 이하에 적용된다. 책임자급 이상은 1월 1일로 소급적용키로 했다. KEB하나은행은 곧 상반기 임금피크제 적용 대상자를 선정한다. 노사는 향후 옛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의 인사 제도가 통합될 경우 임금피크제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KEB하나은행 관계자는 “현재 노사가 2015년 임금협상을 진행하고 있는데, 상반기 임금피크제 시행을 위해 우선 관련 제도에 대한 노사 협의를 마무리했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르포] “美 수출 올스톱, 마진 포기하고 버틴다”… 무역 전쟁에 앞날 캄캄한 中 공장들
- LG화학도 전력 직접구매 신청… “절차 너무 복잡” 지적도
- [실손 대백과] “남 도와주다 골절상 입혔어요”… 일상 속 사고 보상 ‘일배책’ 활용법은
- 입 연 ‘연돈’ 김응서 사장 “지금도 백종원 대표님 덕에 행복”
- [법조 인사이드] “약속한 수임료 주세요” 의뢰인 상대로 소송하는 변호사들… “100억원대 법
- [르포] 中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 어디까지 왔나… 마라톤 하프코스 완주 성공
- [비즈톡톡] ‘전기차 택시’ 멀미에도 배차 차별 못하는 모빌리티 업체들의 속사정은
- 백악관 “코로나19 바이러스, 중국 실험실서 만들어졌다”
- [K의료기기 프론티어] 식물서 배운 전기자극…상처 치료하고 근육 감소 막는다
- ‘K-엔비디아’ 키운다더니 현실은 주 52시간 족쇄… 반도체업계 “K-반도체 하향 평준화”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