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아직은 위안화 대북거래 허용 中단둥 은행들..변화가능성
국책은행 등 10곳 모두 달러 송금 불허 "3년째 시행"
북중교역량 2년 연속 감소에 대북제재 "경제에 주름살"
(단둥<중국 랴오닝성>=연합뉴스) 홍창진 특파원 = "아직은 조선(북한)사람이 창구를 찾아와 인건비를 현금으로 찾아가는건 가능합니다…그런데 앞으로 어떻게 될지…"
23일 북중접경인 중국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의 한 중국 은행에서 만난 관계자는 현재보다 앞으로의 변수에 주목한다고 말했다.
북한이 제4차 핵실험을 진행하고 장거리 로켓(미사일)을 발사한 이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안이 추진되는 가운데 북-중 교역의 중심지인 단둥의 은행권은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습이었다.
단둥에 있는 중국 은행 10곳을 상대로 북한 기업 및 개인에 대한 달러 송금 여부를 확인한 결과, 국책은행 4곳을 포함해 모든 은행이 "3년째 달러 송금 접수를 받지 않았다"고 밝혔다.
국유은행인 중국은행, 공상은행, 건설은행, 농업은행 등의 단둥 분점은 북한 기업·개인에 대한 달러 송금 접수를 거절하고 있었다.
자오퉁(交通)은행, 단둥은행, 다롄(大連)은행, 진저우(錦州)은행 등 민간·지방은행들도 마찬가지였다.
이들 은행은 대북 달러 송금을 거절하는 이유로 "3년 전(2013년) 2월 조선(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한 국제사회 제재조치에 중국이 동참한 이래 금융당국이 변함없이 달러 송금을 불허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건설은행 단둥분점의 한 관계자는 "2005년 미국이 조선 자금 2천500만달러(약 308억원)를 예치한 마카오 은행을 '돈세탁 우려 대상'으로 지목한 이래 중국을 포함한 세계 모든 금융기관이 북한과의 외환 거래를 중단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하지만 이들 은행은 달러 송금 등 외환거래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지만 자국 화폐인 위안화의 대북 거래에는 규제가 느슨하다고 털어놓았다.
한 민간은행 관계자는 "북한 무역상과 외화벌이 일꾼 등이 개인 명의로 신청한 계좌에 대해선 개설을 허용하고 위안화 예·송금을 허용하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또다른 은행 관계자는 "지금은 북한사람의 위안화 계좌 개설 등을 허용하고 있으나 작년 국제통화기금(IMF) 특별인출권(SDR) 통화 바스켓 편입 등 국제통화로서 위안화 위상이 높아진 만큼 향후 정책변경의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북중 무역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은 "금융권의 대북 송금 불허에 상관없이 외교관 등 북한 측 인사가 은행 창구를 직접 방문해 인건비 명목 등으로 현금을 찾아가는 사례가 상당히 있다"고 귀띔했다.
창구에서 만난 은행 직원은 "조선(북한) 사람이 인건비를 현금으로 찾아가는 것은 단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라며 "아직은 큰 변화가 없지만 최근의 (대북제재)분위기로 보아 뭔가 조치가 취해질지도 모를 일"이라고 말했다.
단둥에서 거래되는 대북교역 규모는 연간 38억여 달러(약 4조6천800억원) 규모로 전체 북중 교역액의 70% 이상을 차지하지만 최근 2년 연속 감소추세를 나타냈다.
더구나 북중 접경에선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개인간에 몰래 이뤄지던 밀무역이 거의 중단됐고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오가는 무역품에 대한 통관 절차가 강화돼 교역 분위기를 위축시키고 있다.
북한과 중국의 무역상들이 접경지역에서 감시를 피해 물품을 주고받는 것이 널리 행해졌으나 핵실험 이후 국경수비대 순찰이 강화돼 사실상 자취를 감췄기 때문이다.
단둥 해관(세관)에서 관리들이 북한으로 가는 화물 검사를 종전보다 까다롭게 해 통관 수속에 걸리는 시간이 늘어났으며 정식 신고되지 않은 물품을 발견할 경우 예전엔 크게 문제삼지 않았으나 지금은 가차없이 걸러내고 있다.
단둥 은행가에서 만난 은행권 관계자는 "북한 고객이 단둥지역 은행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만만찮았던 만큼 최근의 제재조치 분위기로 지역 경제에 상당한 주름살이 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realism@yna.co.kr
- ☞ 돌도 안 된 딸 상습폭행…철 없는 20대 아빠 입건
- ☞ 저커버그 "애플에 공감"…빌게이츠 "FBI에 협조해야"
- ☞ 하춘화, 공연 수익금 1억2천만원 기부 "선행은 고독한 싸움"
- ☞ 빵집·대형제과업체 동시 할인…'빵 블랙프라이데이'
- ☞ 유승준, SNS로 또 심경 밝혀 "이제 다시 일어나려 해"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경호처 사조직화'…직원들, 김성훈 사퇴 요구 연판장 | 연합뉴스
- [2보] '아동 학대 살해' 태권도 관장에 징역 30년 선고 | 연합뉴스
- 서귀포 밤길 40m 뒤까지 쫓아온 흉기소지범…출동 경찰에 검거 | 연합뉴스
- 함상훈 재판관 후보자,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판결 논란 | 연합뉴스
- ESPN "이정후, MLB 내셔널리그 타격왕 오를 것" | 연합뉴스
- 가수 켄타 "꿈 좇은 길에 6억 빚…그래도 행복 포기하지 않겠다" | 연합뉴스
- 마라토너 얼굴 가격한 골프공…경찰 '골프장 안전 소홀' 결론 | 연합뉴스
- 등굣길에 초등생 2명 차로 유인해 성추행…외국인 구속영장 | 연합뉴스
- "모가지 따러 왔수다"…공비→목사 '靑습격사건' 김신조 별세(종합) | 연합뉴스
- 여친 잠꼬대에 화나 둔기폭행 40대…살인미수 징역 5년→6년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