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쓰지 못하면 승리 도움 안돼" "특정인 솎아내기 오해 살 수 있다"

전웅빈 기자 2016. 2. 22. 22:1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與 우선추천 확대 신경전 가열

‘이한구 공천관리위원회’ 권한을 둘러싼 새누리당 내부 논란이 더욱 가열되는 양상이다. 이 문제로 지난주 공개석상에서 격돌했던 양대 계파 좌장, 김무성 대표와 서청원 최고위원은 침묵을 이어가고 있지만 친박(친박근혜)과 비박(비박근혜)의 장외 신경전은 계속되고 있다. 이번 주 경선 후보자 면접이 끝나면 부적격자가 걸러지고 우선추천 지역 윤곽도 드러날 가능성이 높아 명분론 싸움은 더 거세질 전망이다.

친박 중진인 유기준 의원은 22일 라디오에 나와 이한구 공관위원장의 우선추천 지역 확대론에 대해 “참신한 신진 인사를 영입하고자 당헌 103조를 넓게 해석하는 것으로 일관성을 벗어난 건 아니다”고 주장했다. 또 “보물을 발견하고도 쓰지 못하고 사장한다면 결과적으로 총선 승리에 도움이 전혀 안 된다”고 했다. 이 위원장이 전날 “보물급에 해당하는 사람을 몇 명 찾은 것 같다. 그런 분들이 잘 되도록 머리는 조금 써볼 생각”이라고 한 것에 대한 지원사격이다.

홍문종 의원도 “(이 위원장 발언은) 정치 발전과 새누리당의 미래를 위해 고심한 흔적이 보인다”며 “당헌·당규 글자 속에서 정무적 판단을 하는 것”이라고 힘을 실어줬다. 김태호 최고위원은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당이 국민과 스스로 멀어지는 자해정치를 하고 있다. (상향식 공천) 개혁이라는 명분만 좇다가는 개악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와 이 위원장, 선출직 최고위원, 공관위원들이 참여하는 ‘긴급 8인 회동’을 열어 총선 룰을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김 대표는 비공개 회의 때 “끝까지 당헌·당규 룰대로 가면 되는 것”이라며 일언지하에 거절했다.

반면 김 대표와 가까운 황진하 사무총장은 이 위원장을 겨냥해 “상향식 제도의 기본 정신을 흐트러뜨리고 과거식 물갈이를 언급하거나 30대 70(여론조사 비율)이 안 맞으면 100%(국민 여론조사)로 밀어붙이겠다고 언급하는 사례가 자꾸 발생한다. 걱정과 분란만 일으킬 수 있는 언급이 나와 매우 안타깝다”고 비판했다. 김용태 의원도 “지금까지 우선추천이란 이름으로 얼마나 사람들을 내리꽂았었느냐. 특정인을 솎아내는 방법으로서의 우선추천제란 오해를 살 수 있다”고 했다.

한편 김 대표가 공천 신청자 면접에 응하기로 하면서 이 위원장과의 어색한 만남이 성사될 가능성이 커졌다. 이 위원장이 면접을 고수할 경우 김 대표는 25일쯤 시작되는 부산지역 경선 후보자 면접에 나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졌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관련기사 보기]
▶2016 총선 기사 모음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뉴스 미란다 원칙] 취재원과 독자에게는 국민일보에 자유로이 접근할 권리와 반론·정정·추후 보도를 청구할 권리가 있습니다. 고충처리인(gochung@kmib.co.kr)/전화:02-781-9711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