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신종플루', 젊은층도 폐렴 등 합병증 위험.."초기 치료 중요"
[앵커]
2009년 유행했던 '신종플루'가 다시 유행 중입니다.
그 사이 치료제가 나왔고 집단면역도 생겼지만 젊은층이 폐렴에 걸리는 등 심각한 합병증 양상은 그대로입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데, 김지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올겨울 유행 중인 독감은 A형인 H1N1과 H3N2 그리고 B형, 이렇게 세가지.
이중 유행을 주도하는 H1N1은 2009년 유행한 '신종플루'로 각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신종플루'는 타미플루를 비롯한 치료제로 빨리 치료하면 일반 계절 독감처럼 나을 수 있지만, 문제는 확진 판정이 늦어지면 바이러스성 폐렴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 발생 위험이 크다는 데 있습니다.
'신종플루'는 젊고 건강한 사람도 폐렴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에 걸리기 쉬운 특징이 있습니다.
그런데 일반 계절 독감처럼 생각하고 초기 치료를 소홀히 해 합병증을 키우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이재갑 /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2009년에도 신종'' 인플루엔자는 증상도 심하고 폐렴으로 빨리 진행하는 패턴을 보여서 현재로서는 독감 유행시기에 발열이 동반된 호흡기 증상이 있는 경우 빨리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고 치료를 빨리 받는 게 현재 가장 중요합니다."
영유아는 기침, 콧물 없이 열만 나는 등 독감 증상이 모호한 만큼 의심되면 바로 검사받는 게 중요합니다.
전문가들은 독감이 전파가 잘 돼 확진 판정을 받으면 최소한 3~4일은 자가 격리해야 한다고 권고합니다.
국내 독감은 4월까지 유행하기 때문에 노인과 만성질환자, 영유아, 임신부는 지금이라도 접종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재력 자랑하던 '나는 솔로' 출연자, 알고보니 가품 팔았다?
- '폭싹 속았수다' 촬영장 혹사·갑질 의혹 뒤늦은 폭로
- 빙하 붕괴로 대규모 산사태…스위스 마을 90% 매몰
- 니가 왜 거기서 나와?…'비둘기 난입'에 항공편 지연
- "1년에 1억원은 기본"…백화점 VIP 등급 선정 기준은?
- 트럼프 겨냥?…영국 국왕, 캐나다 의회서 "자결권 소중해"
- 인천 갯벌서 해루질하다 고립된 여성 2명…순찰 드론이 발견
- 지구 온도 5년 내 '한계' 넘을 수도…'2도 상승' 가능성 첫 제시
- 부부 싸움이라뇨…마크롱 부부, 인도네시아 공항선 '다정 샷'
- 애플 "셀프 수리 프로그램 확대"…아이폰·맥 이어 아이패드까지